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42
한자 嶺南邑誌 大丘府邑誌[1871]
영어공식명칭 Daegu-bu Eupji in Yeongnam Eupji[1871]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영남읍지』「대구부읍지」[1871] 간행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읍지
권책 17책
규격 31.2×20.8㎝
권수제 대구부읍지

[정의]

1871년 간행된 『영남읍지』에 수록된 경상도 대구도호부의 읍지.

[편찬/간행 경위]

『영남읍지(嶺南邑誌)』 「대구부읍지(大丘府邑誌)」 는 1871년(고종 8) 간행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영남읍지(嶺南邑誌)』 제6책에 수록되어 있다. 『영남읍지』는 1871년 전국 읍지상송령에 의하여 경상도 각 읍에서 편찬하여 상송(上送)한 경상도의 읍지를 합철한 경상도도지(慶尙道道誌)이다. 「대구부읍지」대구도호부에서 제작한 읍지이다.

[형태/서지]

『영남읍지』는 필사본 17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구부읍지」는 울산, 영해와 함께 제6책에 수록되어 있다. 읍지의 제일 앞에는 ‘대구지도’ 채색본이 첨부되어 있고, 내제는 ‘대구부읍지’이다. 크기는 세로 31.2㎝, 가로 20.8㎝이다.

[구성/내용]

『영남읍지』 「대구부읍지」 는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관직(官職), 성씨(姓氏), 산천(山川), 풍속(風俗), 방리(坊里), 호구(戶口), 전부(田賦), 군액(軍額), 성지(城池), 임수(林藪), 창고(倉庫), 학교(學校), 관방(關防), 진보(鎭堡), 봉수(烽燧), 단묘(壇廟), 총묘(塚墓), 불우(佛宇), 공해(公廨), 누정(樓亭), 도로(道路), 교량(橋梁), 도서(島嶼), 제언(堤堰), 장시(場市), 역원(驛院), 목장(牧場), 형승(形勝), 고적(古蹟), 토산(土産), 진공(進貢), 봉름(俸廩), 환적(宦蹟)[영선생(營先生), 읍선생(邑先生)], 과거(科擧), 인물(人物), 제영(題詠), 비판(碑板), 책판(冊板)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관방, 진보, 도서, 목장은 항목이 있지만 해당사항이 없어 ‘무(無)’라고 기록되어 있다.

군명 조에는 경상감영의 설치 연혁을 수록하였고, 산천 조에는 연구산(連龜山)·침산(砧山)·팔공산(八公山)·팔조령(八助嶺)·금호(琴湖) 등의 위치가 실려 있다. 풍속 조에는 “사대부는 순수하고 질박함을 숭상하고, 백성들은 농사와 길쌈을 생업으로 삼는다”라고 적혀 있다. 방리 조에는 동상(東上)·서상(西上)·성서(城西)·월배(月背) 등 34개 면의 부(府)에서의 거리와 소속 동리를 부기하였다.

호구 조에는 1831년 신묘식 원호 1만 3194호, 인구 5만 6962명, 남자 2만 4794명, 여자 3만 2168명을 수록하였다. 전부 조에는 양안에 기록된 밭 7,807결 23부, 논 4,976결 54부 4속 등 토지 결수와 전세·대동·균세·요역으로 구분하여 조세 정보를 기록하였다. 성지 조에는 달성(達城)과 부성(府城)의 규모와 시설, 남문루 상량문 등을 실었다. 임수 조에는 신천수(新川藪)·칠성암수(七星巖藪)의 위치와 유래 등을 설명하였다.

학교 조에는 향교·연경서원(硏經書院)·표충사(表忠祠)·낙빈서원(洛濱書院), 불우 조에는 동화사(桐華寺)·용연사(龍淵寺)·용천사(湧泉寺)·운흥사(雲興寺)·부인사(夫仁寺), 누정 조에는 하목당(霞鶩堂)·전귀당(全歸堂)·농연정(聾淵亭) 등이 실려 있다.

제언 조에는 송라제(松羅堤), 대동제(大同堤), 산대제(山大堤), 대불상제(大佛上堤) 등 저수지 94개소와 지인보(知仁洑), 신보(新洑), 개보(介洑), 선하보(船下洑) 등 방보(防洑) 87개소의 위치 등을 기록하였다. 장시 조에는 읍장[2·7일], 화원장[3·8일], 하빈장[5·10일], 풍각장[1·6일] 등이 있고, 고적 조에는 동수(桐藪), 성산(城山), 용봉사(龍鳳寺), 선사(仙槎) 등을 수록하였다.

환적 조는 영선생(營先生)과 읍선생(邑先生)으로 구분하여 역대 부임자의 이름 및 이부임 시기를 기록하였다. 영선생은 도부서사(都部署使), 안찰사(按察使), 제찰사(提察使), 도관찰사출척사(都觀察使黜陟使), 안렴사(按廉使), 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순으로 기록하였고, 읍선생에는 부사(府使)와 판관(判官)을 기재하였다. 인물 조에는 대구 출신 명사를 비롯하여 효자(孝子), 효부(孝婦), 열녀(烈女), 절의(節義)로 구분하여 주요 행적을 기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영남읍지』 「대구부읍지」 는 1832년경 편찬된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를 바탕으로 제작된 읍지이며, 19세기 초반의 대구도호부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