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206
한자 鄭雲騏
영어공식명칭 Jung Woonki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7년 6월 26일연표보기 - 정운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1년 9월 - 정운기 교남학원 설립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2년 10월 31일 - 정운기 대구교육자회 조직 참여하여 기초위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4월 1일 - 정운기 대구부학교평의회 의원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37년 6월 28일 - 정운기 경북상공주식회사 이사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52년 6월 10일 - 정운기 창덕회 부회장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9월 - 정운기 한국민주당 중앙위원 선임
몰년 시기/일시 1960년 10월 13일연표보기 - 정운기 사망
거주|이주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교육운동가|정치인
성별 남성
대표 경력 교남학교 교장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교육운동가이자 정치인.

[개설]

정운기(鄭雲騏) [1887~1960]는 일제강점기 교남학원(嶠南學院) 설립에 참여하고 교장을 맡아 교육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가계]

정운기의 아버지는 정시원(鄭時源)이고, 형은 대구권총사건에 가담한 독립운동가 정운일(鄭雲馹)이다.

[활동 사항]

정운기는 1921년 9월 홍주일(洪宙一)·김영서(金永瑞) 등과 함께 교남학원(嶠南學院)을 설립하고 원장을 맡았다. 1922년 4월 15일 교남학원 신입생을 위한 개학식을 진행하였고, 학생들에게 박물 과목을 강의하였다. 1922년 달성유치원 1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경영난을 겪고 있던 달성유치원을 위하여 100원을 기부하기도 하였다.

정운기는 1922년 10월 31일 대구 사립학교 대표자 10여 명과 함께 사립학교 간 연락, 교육자 친목, 학술 연구와 교육 보급의 강령을 실천할 대구교육자회(大邱敎育者會)를 조직하였고, 백남채(白南埰)·김구(金坵) 등과 함께 기초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23년 6월에는 조선민립대학설립기성회 대구지방부에 참여하여 집행위원이 되었다. 교남학원이 1924년 5월 승격되자 교남학교(嶠南學校)로 교명을 변경하고 수창동에서 남산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으며, 1927년 1월 김정훈을 새로운 교장으로 맞아들였다. 1924년 4월 1일 대구부 학교평의회 의원에 당선되었고, 1925년 5월 경영난을 겪고 있던 대성학관(大成學院)에 4원을 기부하였다. 1927년 8월 1일 교남학교장으로 치러진 홍주일의 장례식에서 장의위원장을 맡았으며, 1937년 6월 28일 경북상공주식회사 창립총회에서 이사로 선임되어 경제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정운기는 1946년 6월 한국민주당 대구지부와 11월 한국민주당 경북지부 결성에 관여하였다. 또한 미군정청이 지방행정기관의 협의기관으로 설치한 대구부 행정고문회의 관선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5·30 총선거에서 경북선거위원으로 선정되었으며, 1952년 6월 10일 대구와 경상북도 내 61세 이상의 150명이 국민 도의의 앙양을 위하여 결성한 창덕회(彰德會)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1955년 9월 한국민주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2월 8일 한국민주당 경북도당 전체회의에서는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8.07 내용 수정 [한자항목명]|[개설] 鄭雲騎 → 鄭雲騏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몰년 시기/일시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