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97
한자 尙德祠 碑閣
영어공식명칭 Sang Deoksa Bigak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문우관길 13[남산동 570-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26년연표보기 - 상덕사 비각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10년 - 상덕사 비각 문우관으로 이건
훼철|철거 시기/일시 1910년연표보기 - 상덕사 해체
현 소재지 상닥사 비각 - 대구광역시 중구 문우관길 13[남산동 570-1]지도보기
원소재지 상덕사 비각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성격 비각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문우관
관리자 문우관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비각.

[개설]

상덕사 비각(尙德祠碑閣)이 있던 상덕사(尙德祠)경상감영에서 동쪽으로 1리쯤에 있던 제향 공간이었다. 상덕사 비각상덕사 경내에 있었으나 현재 자리로 이건되었다. 상덕사는 1682년 일휴정(逸休亭) 이숙(李䎘)[1626~1688]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생사당으로 출발하였고, 이후 1727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한 유척기(俞拓基)[1691~1767]의 선정을 기려 이숙과 함께 배향하였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 조인영(趙寅永)[1782~1850]이 비문을 짓고 비각을 세워 매년 중양절에 제사를 지냈다.

[위치]

상덕사 비각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상덕사 경내에 있었으며 1918년에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570-1로 이전하였다.

[변천]

1910년 일본인들이 대구 이사청(理事廳)을 지으면서 상덕사가 헐리게 되었다. 이후 1918년 채헌식(蔡憲植)[1855~1933]이 상덕사 동쪽에 향교의 재산으로 문우관(文友觀)을 지으면서 상덕사 비각을 옮겼다. 이외에 순찰사 이공 휘숙 청덕선정비(巡察使李公諱䎘淸德善政碑), 관찰사 유공 휘척기 영세불망비(觀察使兪公諱拓基永世不忘碑), 순찰사 유공 휘척기 영세불망비(巡察使兪公諱拓基永世不忘碑), 도순찰사 친군남영사 이공 호준 영세불망비(都巡察使親軍南營使李公鎬俊永世不忘碑) 등 5기의 비석들도 함께 옮겼다.

[형태]

문우관의 출입문인 ‘진덕문(進德門)’을 중심으로 왼쪽은 강당이 있고, 정면에 남향하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인 상덕사 비각이 있다.

[의의와 평가]

상덕사 비각과 비석들은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로서 현재의 대구광역시에 부임하였던 지방관들의 선정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로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