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448
한자 都市再生事業
영어공식명칭 Urban Regeneration Pla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선

[정의]

대구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구 지역의 쇠퇴되고 노후화된 시가지를 재생·정비하는 사업.

[주요 사업]

대구광역시의 도시재생사업은 2021년 기준, 도시재생뉴딜사업, 도시재생 선도 지역 사업, 도시재생 활력 증진 지역 개발사업, 새뜰마을 사업 등이 시행되고 있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지역 주도로 도시 공간을 혁신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이다. 도시재생 선도 지역 사업은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에 따라 도시의 자생적 성장 기반을 확충하고 도시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사업이다. 도시재생 활력 증진 지역 개발사업은 지역발전 정책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시 활력 증진 지역에 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에 국가가 예산을 포괄적으로 지원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다. 새뜰마을 사업은 취약 지역 주민의 생활인프라 확충 및 노후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마을만들기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주민의 삶의질 향상을 추구하는 사업이다.

[사업 현황]

대구광역시 도시재생사업의 주요 현황을 보면, 도시재생뉴딜사업의 경우 2017년에는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서구 원대동, 북구 침산동 일원의 총 3개소에서 시행되었다. 2018년에는 중구 포정동동산동, 서구 비산동, 남구 이천동, 북구 산격동복현동, 달서구 죽전동 등 7개소에서 운영되었다. 2019년 도시재생사업은 달서구 송현동, 달성군 화원읍에서 시행되었고, 2020년에는 중구 남산동 일원 지역과 달서구 상인동 일원 등 2개소에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선정되었다.

도시재생 선도 지역 사업으로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경제·교통·문화 HUB 조성을 위한 서대구 재창조 사업’이 시행되었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원고개 날뫼마을 조성사업’이 시행되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는 ‘대명 행복문화마을 조성 사업’ 등이 추진되었다.

대구광역시 도시재생 활력 증진 지역 개발사업은 2019년 기준, 총 29개소에서 진행되었으며, 이 중 14개소는 사업이 완료되었고 15개소는 추진 중이다.

대구광역시 새뜰마을 사업으로는 ‘달설토성과 함께하는 행복마을 프로젝트’, ‘캠프워커 북편 안전·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내사랑 낙동마을 사업’ 등이 시행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