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부산문화대전 > 부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용2(문화와 교육) > 문화·예술 > 문화 시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센텀 시티 안에 있는 부산 국제 영화제 전용관. 부산은 영화의 도시이고, 아시아의 대표적 영화제인 부산 국제 영화제를 개최하는 곳이다. 그런데 전용관이 없어 이에 따른 부작용이 많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개최 시기였다. 처음 부산 국제 영화제를 개최할 때에 극장 대관의 편의성으로 추석 연휴 3주 후를 개막 시기로 정하였다. 이 시기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문화 예술 회관. 해운대구 구민들을 위한 종합 문화 예술 공간을 개관하기 위하여 2001년 5월에 건립 계획을 확정하고, 2002년에 설계 공모를 실시하여 2004년에 공사에 착공하였다. 2006년에 기구를 신설하고, 2006년 9월에 공사를 준공하여, 2007년 3월 30일에 해운대 문화 회관(海雲臺文化會館)을 개관하였다. 대...
-
부산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사진 전문 미술관. 고은 문화 재단의 고은 사진 미술관(古隱寫眞美術館)은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는 문화 예술 인프라를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구축함으로써 지역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예술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2007년 12월 건립되었다. 2010년 3월 토요타 포토 스페이스(ToYoTa Photo Space)가 만들어져 고은 사진 미술...
-
부산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미술 작품 전시관. 동백 아트 센터는 부산의 미술 작품 전시관으로 해운대 달맞이 고개에 위치하여 카페와 전시관을 겸하고 있다. 동백 아트 센터는 부산 시민들에게 평소 접하기 힘든 미술을 가까이에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1992년 4월 개관하였다. 2007년 리모델링 후 재개관하였다. 동백 아트 센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부산의 MICE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국제 전시 컨벤션 센터. 벡스코(BEXCO)는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전시회와 국제회의를 부산에 유치하여 부산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12월 부산국제종합전시장 법인을 설립하여 1996년 3월 부산 국제 종합 전시장 개소식을 가졌다. 1997년 10월 부산 국제 종합 전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상업 화랑. 서울신문사 기자로 근무하던 신옥진 대표가 결핵으로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요양하던 중 화가 김종식(金種植), 서상환 등의 권유 등으로 1975년 3월 20일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외국 서적 골목 2층에서 공간 화랑 다실이라는 이름으로 다실을 겸하는 화랑을 개관하였다. 개관전으로 3인 초대전-김종식,...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APEC로에 있는 시립 미술관. 부산 시립 미술관은 근현대 미술을 아우르는 각 장르별 미술 작품과 자료의 수집, 전시, 연구와 국제 교류를 통하여 폭넓은 미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미술 전문 기관이다. 다양한 분야의 현대 미술 및 부산과 영남권 미술을 중점 수용하는 종합 미술 공간이다. 부산 시민의 미술 문화 의식의 향상과 건전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화랑. 조현 화랑은 활발한 아트 페어 참여와 아트 컨설팅, 그리고 외부 전시 기획을 통해서 새로운 미술 문화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1990년 수영구 광안동 아트 타운에 갤러리 월드로 개관하였다. 1999년 해운대로 이전하였다가 2007년 6월 현재의 위치인 해운대 달맞이 고개 신축 건물에 자리 잡았다. 2007년 12월...
-
부산광역시가 건립하고 부산국제영화제가 위탁 운영하는 1999년 개관된 한국의 대표적인 예술 영화 전용 상영관. 시네마테크 부산(Cinematheque Busan)은 영화가 위대한 문화유산이라는 인식 하에 소실되는 것을 우려해 필름 및 영상 관련 자료들을 수집·보관하고, 영화에 관한 각종 정보, 자료 제공과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그리고 예술 영화 정기 상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