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부산문화대전 > 부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터전(지리) > 인문 지리 > 행정 구역
-
부산광역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행정 구역. 해운대구(海雲臺區)의 지명은 해운대(海雲臺)에서 따온 것이다. 해운대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고적조에 “신라 최치원(崔致遠)[857~?]이 일찍이 대를 쌓아 머물러 즐겼다는 유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최치원의 자(字)는 해운(海雲)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동백섬 동남쪽의 비탈진 넓은 암반위에 쌓았던 대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반송동(盤松洞)은 본래 지경리(地境里)로도 불렸는데, 이후 반송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지경리는 기장현과 동래부의 경계를 이루는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반송동은 지금의 운봉초등학교 앞에 수령이 200여년 넘는 아름드리 소나무를 반송 나무굴이라 칭하면서 비롯되었다. 반송동은 『동래부지(東萊府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반여동(盤如洞)은 지형이 소반(小盤)[작은 밥상]처럼 동그랗다는 풍수설의 영향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반여동은 부산의 중요 고분군 가운데 하나인 반여동 고분군[부산의 복천동·연산동 고분군과 함께 위치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중요 고분군]이 있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조선 시대 동래부의 동면에 속...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석대(石坮)란 지명은 일찍부터 사용해 왔으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대(坮)는 대(臺)의 고(古) 자로 지역 내에 지명처럼 돌로 쌓은 높은 곳이나 이에 준하는 넓은 반석(盤石) 등의 지형과 관련한 것으로 보이지만 확인할 수는 없다. 마을 앞으로 석대천[수영천의 상류로 사천이라고 했음]이 흐르고, 옛날에는 물이 맑고 경...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송정(松亭)은 본래 갈개 또는 가래포(加來浦), 가을포(加乙浦)라고 불렀다. 갈개는 갈대의 지방 방언으로 만입부에 갈대가 서식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으로 전하며, 가래포의 가래는 갈대의 사투리이다. 가을포는 가래포의 차음에서 나왔다고 한다. 가을포를 송정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곳의 세거 씨족인 광주 노씨(光州盧氏)가 해송...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우동(佑洞)은 조선 시대 사료에서도 나타난다. 당시 지명은 지금과 달리 우(右)자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좌동의 대칭 지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우동 지명은 춘천천의 우안(右岸)에 위치한 데서 비롯되었다. 우동은 조선 후기에 동래군 동하면(東下面)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동하면의 우동(右洞)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재송(栽松)이란 지명은 조선 시대에 이곳에 있던 재송포(栽松浦)와 관련이 있다. 이곳은 수영강과 온천천이 합류하는 곳으로 여기까지 배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 이곳에 소나무가 울창하여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일명 송수촌(松樹村)이라 부르기도 했다. 재송동(栽松洞)은 조선 후기 동래군 동하면(東下面) 재송포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좌동(佐洞)은 춘천천의 왼쪽에 위치하여 붙여진 방향 지명으로, 우동(佑洞)과 중동(中洞)과의 대칭 지명임을 보여 준다. 좌동 지역은 조선 후기에 동래군 동하면(東下面) 좌동리(佐洞里)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남면 좌동리가 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 관할로 개편되었다가 1953년 해운대출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중동(中洞)은 해운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지역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좌동·우동과 함께 방향을 의미하는 대칭 지명이다. 중동 지역은 조선 후기에 동래군 동하면(東下面)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오산동, 대천동, 중동, 좌동 일부가 합쳐 남면 중동리가 되었다. 1942년 수영출장소에 편입되면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일원에 조성되는 미래 도시. 센텀시티는 부산의 밀레니엄 프로젝트 중 가장 핵심 사업이다. 센텀시티(Centum City)란 라틴 어로 100을 뜻하는 센텀과 시티의 합성어로 100% 완벽한 첨단 도시를 의미한다. 첨단 기술과 자연이 결합된 미래 복합형 도시, 즉 정보·업무·관광·상업·주거·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복합 기능을 갖춘 도시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일대에 새롭게 조성된 계획 시가지. 신시가지는 도시 내 형성되는 구역이며 신도시는 독립된 행정 구역으로 개발된다는 개념으로 구분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두 개념은 큰 구분 없이 혼용된다. 신도시의 개발 배경은 첫째 도시 인구 증가와 세대수 증가로 주택 공급의 필요성에 의해 도시 정책적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둘째는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생활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