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590
한자 韓國水資源公社洛東江統合-管理-
영어공식명칭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otal Management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1233번길 84[하단동 1149-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기업[준시장형]
설립자 국토해양부
전화 051-200-2511
홈페이지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http://www.kwater.or.kr/NewOfficeUser/gnhd/nakdonggang/dd07_01.aspx?officecode=dd07&officename1=gnhd&officename2=nakdonggang&menu_number=1)
설립 시기/일시 2013년 1월 1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1월 30일 - 낙동강 살리기 사업 준공
최초 설립지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149-7지도보기
현 소재지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233번길 84[하단동 1149-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경남부산지역본부 소속 기관.

[설립 목적]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법」[법률 제11593호, 2012. 12. 18]에 의거,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관리하여 생활용수 등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2012년 11월 30일 낙동강 살리기 사업이 준공되어, 2013년 1월 1일 기존의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관리단을 흡수·통합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149-7번지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를 개소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는 염해를 방지하고 부산·경상남도 권역의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하여 낙동강 하구둑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또한 안정적인 하천 관리 유량 공급과 가동 댐 수문 조작을 통한 홍수 유출량의 원활한 소통 등을 위하여 보 관리 및 댐과 보 등의 연계 운영을 하고 있으며, 낙동강 하구둑 2 배수문 증설과 대체 피항지를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물 체험과 관련된 각종 전문 교육의 시행,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 전시회, 공모전, 학술 행사 개최 등을 통한 낙동강 하구둑 물 문화관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한국수자원공사 경남부산지역본부 산하 10개 기관 중 하나인 물 관리 센터이다. 관리하는 시설에는 낙동강 하구둑 제수문[6문, 길이 47.5m, 높이 9.2m], 조절 수문[4문, 길이 47.5m, 높이 8.3m], 갑문[좌/우 2문 1조, 길이 90m, 높이 8.8/7.2m], 낙동강 하구둑 증설 배수문 제수문[1문, 길이 95m, 높이 8.5m, 2문, 길이 47.5m, 높이 8.5m], 조절 수문[2문, 길이 47.5m, 높이 8.5m], 어도[갑문식 1개소 길이 73m, 계단식 1개소 길이 91m] 등과 창녕·함안보[유역 면적 2만 697㎢, 길이 549.3m, 높이 10.7m], 합천·창녕보[유역 면적 1만 5074㎢, 길이 328m, 높이 11.5m] 등의 다기능보가 있다. 센터장 아래에 관리 센터 40명, 운영팀 19명, 하구둑 운영팀 30명 등 9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