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릉 김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536
한자 江陵金氏
영어의미역 Gangreung Gimsi|Gangreung Gim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김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시조 김주원(金周元)
입향시조 김검(金儉)
본관 강릉 - 강원도 강릉시
입향지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세거|집성지 선동, 남산동, 노포동, 사직동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세거|집성지 기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지도보기
묘소|세장지 선동 선영(先塋)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상현 마을
재실 상현 정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상현 마을

[정의]

김주원을 시조로 하고, 김검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조선 시대에 충순위(忠順衛) 김일신(金日新)의 아들 김검(金儉)이 동래로 남하하여 강릉 김씨 충순공파를 연 이후, 북계(北溪) 김선(金璿) 때 동래 선동(仙洞)으로 이주하여 터전을 잡아 번창하였다. 이후 동래[수내, 여고, 산저] 및 기장 등에 세거하다가 지금까지 부산광역시 일원에 대대로 거주하고 있는 성씨이다.

[연원]

강릉 김씨의 시조는 신라 혜공왕 때에 시중(侍中)을 지낸 김주원(金周元)이다. 선덕왕이 죽은 후 처음에 김주원이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홍수 때문에 입궐하지 못하자 상대등(上大等) 김경신(金敬信)이 원성왕이 되었다. 이후 김주원은 강원도 명주[현재 강릉]로 물러났는데, 2년 후 조정에서는 명주군왕(溟洲郡王)으로 삼아서 명주와 울진을 식읍(食邑)으로 내렸다. 이후 후손들이 본관을 강릉으로 삼았는데, 이것이 강릉 김씨의 처음이다. 강릉 김씨는 신라 시대에 진골 귀족의 지위를 누렸다.

시조 김주원은 첫째 아들 김종기(金宗基), 둘째 아들 김헌창(金憲昌), 셋째 아들 김신(金身) 등 삼 형제를 두었다. 이 가운데 김신의 증손 삼 형제에서 강릉 김씨의 최초 분파가 생겼다. 즉 증손 첫째인 김영진(金英珍)에서 판서공 청풍파, 영사공 영월파, 부정공파, 지사공[전적공] 모안파, 괴당공 옥가파를 이루었다. 둘째인 김영길(金英吉)에서 군사공파, 평의공파[일명 왕김파], 효자공 우계파를 이루었다. 셋째 김영견(金英堅)에서 한림공파가 나온다. 한림공파를 세분하면 상서공 신리파, 만호공 김포파, 지산군 김포파, 첨사공파, 충순공 동래파 등이다.

강릉 김씨의 인물로는 고려 왕조에서는 학문과 문장이 뛰어난 문하시중 김인존(金仁存), 평장사 김영석(金永錫) 등이다. 조선 왕조에서도 많은 인물이 배출되어 활동하였는데, 조선 초기의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1435~1493]이 유명하다.

[입향 경위]

강릉 김씨는 부산에 두 개의 파가 들어왔다. 먼저 한림공파로, 파조(派祖) 김일신은 시조 명주군왕 김주원의 22세손이며, 한림공(翰林公) 김영견(金英堅) 파조의 18세손이다. 동래의 강릉 김씨는 북반중(北泮中)[현 명륜동] 김일성(金日省)과 김일신 형제에서 비롯되었다. 김주원의 16세손 호부 시랑(戶部侍郞) 김웅(金雄)의 현손이자, 낭장(郎將) 김원간(金元侃)의 둘째 아들이었던 김일신(金日新)은 충순위를 지냈다. 김시습의 종제(從弟)이며, 김일신의 아들인 김검이 생육신 사건으로 동래 수내동으로 내려와 숨어 산 이후 동래, 기장, 여고, 산저 등에 세거하면서 충순공 동래파라 하였다. 이후 이들은 사는 지역에 따라 다시 분파하였다.

먼저 강릉 김씨는 김검의 아들 김선(金璿) 때 동래 선동에 자리를 잡았다. 이때부터 강릉 김씨 충순공 동래파의 선동 문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세거 기반을 확고하게 하였다. 이들을 충순공 동래 수내파라 한다. 신선이 사는 마을이라는 선동에서 충순공의 손자인 김선은 북계 처사(北溪處士)를 호로 삼고, 단종의 폐위(廢位) 후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서 세상을 등지고 동래에 거주하였다.

북계 김선은 매월당 김시습의 종질(從姪)이자 참봉(參奉) 김검의 아들이다. 김선은 이조 참의(吏曹參議)로 있으면서 언사(言事)가 왕의 뜻과 맞지 아니하여 울주 부사(蔚州府使)에 나갔다가 돌아왔는데,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아우 김랑(金琅)과 은둔할 곳으로 동래 북쪽 상현리(上賢里)에 이르러 세거하게 되었다. 뒷날 단종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통곡하고, 선동 시냇가에 정자를 지어 북으로 문을 내어 절하며 스스로 호를 북계(北溪)라고 하였다고 한다.

현손(玄孫)인 호 백취(栢翠) 김정서(金廷瑞)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동래부(東萊府)의 의병장으로 소산역(蘇山驛)에서 싸웠으며, 정유재란 때는 화왕산성(花旺山城)에서 전공을 세웠다. 1598년(선조 31) 다대포 첨절제사(多大浦僉節制使)에 임명되어 선정을 베풀었으며, 선무원종공신(宣撫原從功臣)에 올랐다. 임진왜란 후 무술년에는 동래부 향안(鄕案)을 만들어 동래부 원향오가(東萊府原鄕五家)의 으뜸으로서 유향(儒鄕)을 바로 세웠다.

다음으로 충순공 동래 기장파는 충순위 김일신의 손자이며, 김선의 둘째 아들인 김희진(金希震)의 후손으로 동래와 기장에 세거하였다. 충순공 동래 여고파는 충순위 김일신의 손자로 김선의 셋째 아들인 김희만(金希滿)의 첫째 아들 김천상(金天祥)이 훈련원(訓鍊院) 판관(判官)을 지내고, 동래구 사직동 여고리에 세거하였다. 충순공 동래 산저파는 김검의 둘째 아들인 참봉(參奉) 김랑(金琅)의 손자 김통기(金通器)가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지내고, 공의 손자 김연옥(金鍊玉)은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하였는데, 후손이 동래구 온천동 산저 마을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이상과 달리 5세(世) 김영진(金英珍)에서 파생되고, 22세 김윤신(金潤身)에서 괴당공 옥가파가 형성되었다. 김윤신은 호가 괴당(槐堂)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원주, 파주 목사를 지냈고, 손자 김광언(金光彦)은 예빈시 직장을 역임하고 장자 김임(金銋)의 후손이 옥가, 횡성군 둔내면, 강릉 구정면 학산리, 부산 동래, 강릉 성산면 삼왕동에 세거하였다. 김임의 손자인 김귀남(金貴男)의 셋째 아들인 28세 김정진(金貞震)은 동래에 정착 세거하였다.

그리고 기장 지역에 괴당공 참의공파가 입향하였다. 괴당공 김윤신의 손자 김광언의 넷째 아들인 김수[참판]의 둘째 아들 참판 김몽호(金夢虎)[호 지봉]는 선조 조에서 문과 급제하고 인조 조에서 공조 참의를 지냈다. 그의 넷째 아들 김득헌(得憲)은 선전관 주부와 도사를 지냈고, 경상도 기장 현감을 역임하였다. 김득헌의 손자 김덕구(金德龜) 대부터 기장에서 계속 살았다.

[현황]

조선 시대 동래부의 북면에 거주하며 번창했던 강릉 김씨는 현재의 금정구 선동에 60여 년 전까지 10여 호가 살았으나, 지금은 한 집도 살지 않고 문중의 재실(齋室)만 남아 있다. 그리고 중구 남산동금정구 노포동에 각각 3호 정도가 살고 있을 뿐이다.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강릉 김씨는 2000년도 기준으로 2,032호에 6,717명[남 3,335명, 여 3,382명]이다.

[관련 유적]

상현 정사(上贒精舍)를 1907년(순종 1)에 세웠으며, 상현단(上贒壇)을 1924년에 경상도 유림의 발의로 세워 김선과 김정서를 모시고 제사지냈다. 화수정(花樹亭)을 1946년에 세웠다. 2000년대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진행하여 상현당(上贒堂)으로 정비하였다. 유림들이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상현 마을[현 선동 재실]의 상현 정사에서 매년 음력 4월 첫 정일(丁日)에 제사지낸다. 선영은 동래 북쪽 상현리[선동 재실 뒤편] 언덕에 모셔져 있다. 특히 김정서임진왜란 때의 동래부 66공신 중에서도 별전(別典) 24공신의 으뜸으로 동래 충렬사에 배향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7.10.24 연결 항목 오류 수정 김일성(金日省) 연결항목 오류 수정(링크 삭제)
2017.07.03 상현정사, 상현당 한자 수정. 上賢 ->上贒
이용자 의견
김** 위의 김일성은 강릉김씨입니다. 김일성 아래에 밑줄이 그으져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김해김씨의 김일성으로 연결됩니다. 한자가 틀립니다. 수정바랍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해당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7.10.23
김** t상현당. 상현정사 의 한자중 '현"자는 賢자가 아니고 臣신 옆에 又또우가 아니고 忠 충성충자 입니다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으나 다같이 어질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반영하여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7.07.0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