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470
한자 釜山環境公團
영어공식명칭 Busan Environment Corpo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남로 185[안락동 110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상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설 관리 기관
설립자 부산광역시
전화 1577-2237
홈페이지 부산환경공단(http://www.beco.go.kr)
설립 시기/일시 2000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10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에서 부산환경공단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월 1일 - 다대 소각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6월 1일 - 녹산 신호 하수 처리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8월 - ISO 14001[환경 경영 체제]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월 - 서부 하수 처리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0월 - 명지 소각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월 - 해운대 소각·하수 처리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5월 - 행정자치부 혁신 선도 공기업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9월 - 고용노동부 노사 문화 우수 기업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월 - 중앙 하수 처리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7월 - 기장 하수 처리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1월 - 교육인적자원부 ‘2006 인적 자원 개발 우수 기관’으로 인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6월 5일 - 제1회 환경 체험전 ‘환경아 놀자’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1월 - 행정자치부 ‘지방 공기업 경영 대상’ 최우수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3월 - 『한국 일보』 주관 ‘2008 녹색 에너지 대상’ 에너지 절감 기술·시스템 부문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1월 - 고용노동부 ‘노사 문화 우수 기업’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 정관 소각·하수 처리장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6월 - 『한국 경제 신문』·웨슬리퀘스트 제정 ‘2009 대한민국 BSC 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6월 - ‘부산광역시 녹색 환경 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 국민권익위원회 전국 지방 공기업 청렴도 평가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6월 - 지식경제부·환경부 ‘2011 녹색 경영 대상[지속 가능 부문]’ 환경부 장관상 수상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남로 185[안락동 1108]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환경공단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남로 185[안락동 110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환경 시설 관리 운영 기관.

[설립 목적]

부산환경공단(釜山環境公團)은 부산 지역의 환경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함으로써 시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99년 10월 28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설치 조례[제3564호]가 제정되고 1999년 11월 5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정관이 제정되었다. 2000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이 발족하였다[강변 하수 처리장, 남부 하수 처리장, 수영 하수 처리장, 위생 처리장]. 2001년 1월 1일 다대 소각장[현 다대 자원 에너지 센터]을 인수하고 6월 1일 녹산 신호 하수 처리장을 인수하였다. 2001년 8월 ISO 14001[환경 경영 체제]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3년 1월 서부 하수 처리장을 인수하고 10월 명지 소각장[현 명지 자원 에너지 센터]을 인수하였다.

2005년 1월 해운대 소각·하수 처리장[현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을 인수하였다. 2005년 5월 행정자치부 혁신 선도 공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2005년 9월 고용노동부 노사 문화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06년 1월 중앙 하수 처리장을 인수하였고, 2006년 7월 기장 하수 처리장을 인수하였다. 2006년 11월 교육인적자원부 주관 ‘2006 인적 자원 개발 우수 기관’ 인증을 받았다. 2007년 6월 5일 제1회 환경 체험전 ‘환경아 놀자’를 개최하였다. 2007년 11월 행정자치부 주관 ‘지방 공기업 경영 대상’ 최우수상[국무총리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3월 『한국 일보』 주관 ‘2008 녹색 에너지 대상’ 대상[에너지 절감 기술·시스템 부문]을 수상하였다. 2008년 11월 고용노동부 ‘노사 문화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08년 12월 정관 소각·하수 처리장을 인수하였다. 2009년 6월 『한국 경제 신문』과 웨슬리퀘스트가 제정하는 ‘2009 대한민국 BSC[Balanced Score Card, 균형 성과 관리 제도]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 1월 1일 부산환경공단 설치 조례[제4,444호] 개정에 따라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에서 부산환경공단으로 개칭되었다. 2010년 6월 ‘부산광역시 녹색 환경 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 10월 국민권익위원회 전국 지방 공기업 청렴도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11년 6월 지식경제부와 환경부가 공동 주최한 ‘2011 녹색 경영 대상[지속 가능 부문]’에서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환경공단의 주요 사업은 첫째, 부산광역시의 공공 하수 처리 시설 및 분뇨 처리 시설 관리 운영, 둘째, 쓰레기 소각장·매립장 등 청소 시설 관리 운영, 셋째, 국가, 지방 자치 단체 및 기타 공공 단체의 환경 시설 위탁 사업이 있다.

국내 최대 환경 체험전 ‘환경아 놀자’를 개최하고 있다. 2007년 3월 부산광역시 교육청과 ‘환경 교육 사업’ MOU 체결을 맺고 처음 시작한 사업으로 매년 세계 환경의 날[6월 5일]에 개최한다. 2009년부터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공식 행사, 2011년부터 유니세프[UNICEF,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공식 행사로 지정되었다.

부산 지역의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환경 마라톤, 야외 음악회, 나눔 장터, 불우 시설 지원, 족구 대회·축구 대회 개최 등 시민 참여의 폭을 넓히고 있다. 매년 칠월 칠석 전후 ‘하수 처리장 음악회’를 개최한다. 환경과 문화의 만남, 하수 처리 시설과 이용 시민들의 만남을 테마로 부산환경공단 산하 하수 처리장에서 개최한다.

또한 지역 사회 공헌 활동으로 사랑의 연탄 지원, 을숙도 철새 먹이 주기, 환경 정화 활동, 저개발 아시아 국가 지원 등을 실시한다. 모금을 소외 계층의 지원 기금으로 활용하며, 하수 처리 기술을 활용한 각종 봉사 활동을 실시한다.

[현황]

이사장 아래 경영 이사와 운영 이사가 있으며 총 6개의 팀[미래전략팀, 경영기획팀, 총무재정팀, 사업운영팀, 관거관리팀, 환경분석팀]과 12개의 사업소[부산환경공단 수영사업소, 부산환경공단 강변사업소, 부산환경공단 남부사업소, 부산환경공단 위생사업소, 부산환경공단 다대사업소, 부산환경공단 녹산사업소, 부산환경공단 명지사업소, 부산환경공단 해운대사업소, 부산환경공단 서부사업소, 부산환경공단 중앙사업소, 부산환경공단 기장사업소, 부산환경공단 정관사업소]가 있다. 환경 기초 시설로 9개의 하수 처리장, 4개의 자원 에너지 센터[소각 처리], 1개의 위생 처리장을 운영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인력 정원은 452명으로 임원 3명, 일반직 444명, 계약직 5명이다. 2013년 1월 현재 임원 2명, 일반직 440명, 계약직 5명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환경공단은 환경 기초 시설 최적 운영의 경험을 토대로 환경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이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공기업으로서의 의무를 꾸준히 이행해 오고 있으며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고객 지향적인 경영 활동 등을 통해 친환경 공기업으로서 명실공히 자리 잡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환경공단(http://www.bec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