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724
한자 釜山新港灣
영어공식명칭 Pusan Newport Company
이칭/별칭 PNC,부산신항만주식회사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항남로 330[성북동 148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식회사|항만 운영업체
전화 051-601-8114
홈페이지 부산신항만(http://www.pncport.com/)
설립 시기/일시 1997년 9월 5일연표보기 - 부산신항만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3월 2일 - 민자 유치 대상 사업으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6월 30일 - 사업 시행자 지정 및 실시 협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1월 17일 - 북 컨테이너 부두 1-1단계 공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월 10일 - 1-1단계 부두 시설 위탁 운영 관리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월 10일 - 1단계 사업 건설 자금 차입을 위한 금융 약정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월 19일 - 신항 터미널 개장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월 13일 - 1-1단계 잔여 3선석 관리 운영권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1월 15일 - 산업안전공단 OHSAS 18001 인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 7일 - ISO28000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업계 최초 인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6월 10일 - 1-2단계 3선석 준공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0월 28일 - 신규재 금융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22일 - 1천만 TEU 처리 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2월 16일 - ISO 14001:2004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업계 최초 인증
최초 설립지 부산신항만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1488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신항만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148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항만 운영 업체.

[설립 목적]

부산신항만은 부족한 항만 시설의 확충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동북아 허브 항만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96년 3월 재정경제부가 민자 유치 대상 사업으로 지정한 이후, 1997년 6월 30일 사업 시행자를 선정하여 실시 협약을 체결하였고, 같은 해 9월 5일 부산신항만을 설립하였다. 2000년 12월 부산 신항 전체 개발 사업에 대한 기공식이 있었다. 2001년 11월 17일 북 컨테이너 부두 1-1단계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2년 1월 1-1단계 부두 시설 위탁 운영 관리 계약[OMMA]을 체결하였다.

2004년 12월 1단계 사업 건설 자금 차입을 위한 금융 약정을 체결하고, 2006년 1월 19일 신항 터미널 개장식을 거행하였다. 2007년 1월 1-1단계 3선석 관리 운영권을 등록하고, 2007년 11월 세계 1위 선사인 Maersk Line 기항을 유치하고 산업안전공단으로부터 OHSAS 18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9년 4월 관세청으로부터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우수 업체로 인증을 받았다. 6월 1-2단계 3선석 준공식을 거행하였으며, 10월 28일 신규재 금융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0년 12월 철송 운영장을 개장하였으며, 2011년 12월 22일 1천만 TEU 처리를 달성하였다. 2012년 12월 16일 ISO 14001:2004를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업계 최초로 인증받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신항만은 대규모 터미널을 운영하는 회사로 1만 8000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박스 단위]급의 차세대 선박 작업이 가능한 인프라와 국내 최대의 2㎞ 안벽 시설, 초대형 갠트리크레인과 통합 운영 시스템,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등의 최첨단 시설물을 갖추어 고객들에게 신속한 화물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황]

부산신항만은 공동 주간사인 삼성그룹, DP World, 한진그룹, 현대건설, 여수광양항만공사 등이 주주사로 참여하며, 터미널 운영 회사인 DP World가 부산신항만의 터미널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공동 주간사 중에 DP World가 부산신항만의 터미널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데, 지분의 29.6%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DP World 다음에 삼성그룹 23.9%, 한진중공업 10.5%, 여수광양항만공사 9.6%, 현대건설 7.9% 등의 순서로 부산신항만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컨테이너 대형화 추세에 따라 1만 TEU급 이상의 선박이 접안 가능한 안정적인 수심을 확보하였고, 초대형 갠트리크레인, 통합 운영 시스템,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등의 시설물을 갖춘 현대적이며 생산성이 높은 터미널이다.

부산신항만은 보좌역, 감사, 지원 본부장과 운영 본부장 2명의 본부장과 본부 부속의 팀[전략 기획팀, 인사팀, 재무팀, 구매팀, 운영팀, 플래닝팀, 운영 기획팀, 정보 기술팀, 영업팀, 안전 보안팀, M&R팀]이 있으며, 운영팀과 전략 기획팀 아래 부속 4개 part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신항만은 일본과 중국 북동부 사이에 위치한다는 지리적 이점이 있기 때문에 메가 허브 터미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부산신항만은 신속한 화물 처리 서비스를 통한 고객의 원가 절감에 기여하고 안전한 터미널,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안 정책 터미널로 자리를 잡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신항만(http://www.pncport.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