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623 |
---|---|
한자 | 觀光-産業 |
영어의미역 | Tourism Convention Industry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석 |
[정의]
관광객에 대한 재화 및 서비스 제공과 전시회, 박람회, 국제회의 등의 행사 유치를 통해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부산광역시의 산업.
[개설]
부산광역시의 3단계[2009-2013] 10대 전략 산업 중 핵심 전략 산업의 하나로 관광 산업과 컨벤션 산업을 결합하여 부산광역시를 국제 관광·컨벤션 중심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관광 컨벤션 산업 현황]
1. 관광 산업
부산 지역 관광 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현재 3,245개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4.75%로 전국 평균인 1.4%보다 높다. 전국에서 부산 지역 관광 산업 사업체 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기준 7.47%이며 2008년에 증가하였다가 2009년에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관광 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현재 2만 7200명이다. 2007년에 비해 1만 명 이상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로 환산하면 26.62%로 전국의 연평균 증가율 4.87% 보다 월등히 높다. 전국에서 부산 지역 관광 산업 종사자 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현재 10.87%이며, 전국 대비 비율은 2008년에 증가하였다가 2009년에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관광 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5조 5383억 7400만 원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15.54%로 전국 평균인 6.02%보다 높다. 부산 지역 관광 산업 매출액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현재 9.45%이며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컨벤션 산업
부산 지역 컨벤션 산업 사업체 수는 2009년 기준 907개이고, 2007~2009년 사업체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3.97%로 전국 평균이 4.16%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부산 지역 컨벤션 산업 사업체 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기준 49.62%이며 2007년 42.16%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부산 지역 컨벤션 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 기준 1만 391명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2.68%로 전국 평균이 2.89%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국에서 부산 지역 컨벤션 산업 종사자 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기준 73.37%이며 2008년에 증가하였다가 2009년에 감소하였다.
부산 지역 컨벤션 산업 매출액은 2009년 기준 5962억 4600만원이고, 2007~2009년 연평균 증가율은 -5.40%로 전국 평균인 7.25% 보다 낮다. 전국에서 부산 지역 컨벤션 산업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기준 46.25%이며 2007년 58.69%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관광 컨벤션 산업 육성 추진 목표 및 체계]
1. 관광 산업
관광 산업의 추진 목표는 ‘고품격 체류형 국제 관광 도시 조성’으로 집약된다. 이를 위해 관광 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관광 진흥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관광 진흥 위원회에서는 ① 관광 진흥 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② 관광객 유치에 관한 주요 시책, ③ 관광 자원의 개발 및 관광 콘텐츠 발굴에 관한 사항, ④ 관광 서비스 개선 정비에 관한 주요 시책, ⑤ 관광 사업의 일부 사무의 위탁에 관한 사항에 대해 심의 및 자문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관광 진흥 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관광 정책, 관광객 유치, 관광 자원 개발, 관광 사업자 지원, 관광 상품 개발, 관광 홍보물 제작 등의 분야에 분야별 분과 위원회를 두고 있다. 그리고 관광 정보 센터 강화로 관광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남해안 관광 벨트 사업, 해운대 관광 특구, 용두산·자갈치 관광 특구 육성 사업과 함께 태종대 관광지, 황령산 관광지, 해운대 관광지를 육성하고 있다.
해수욕장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송도 해수욕장을 2005년 재정비 완료하였으며, 해수욕장 주변의 송림 공원과 거북섬 일원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하여 2010년까지 송도 테마 공간 조성 사업을 완료하였다. 이외에도 부산 시민 공원 조성,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국립해양박물관 건립, 다대포 해수욕장 정비, 몰운대 낙조 공원 조성, 가덕도 종합 개발, 해운대 관광 리조트 개발, 기장 도예촌 조성, 용호만 유람선 터미널 조성, 황령산 봉수대 관광 자원화 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웨일 크루즈와 같은 수상 호텔 등의 도입을 위한 민간 투자자 물색 등 다양한 관광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해 ① 국제 크루즈 관광 활성화, ② 연안 크루즈 활성화를 위한 유람선 터미널 조성, ③ 부산 관광 기념품 공모전 개최, ④ 부산 문화 체험관 설치 운영, ⑤ 외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제공, ⑥ 관광 서비스 조직 신설, ⑦ 고품질 관광 서비스 구현을 위한 관광 수용 태세 개선 등에 주력하고 있다. 또 부산 국제 관광전[BITF]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관광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15년까지 현재의 외국인 관광객을 48.1% 증가시켜 300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2. 컨벤션 산업 육성 추진 목표 및 체계
컨벤션 산업의 추진 목표는 부산을 ‘동북아 전시 컨벤션 중심 도시’로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시·컨벤션 산업 육성, 인력 양성, 전시·컨벤션 포럼 개최, 민간 주관 전시회 개최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부산시 전시·컨벤션 업체 육성과 부산관광컨벤션뷰로 운영을 통해 컨벤션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15년까지 연간 60건의 국제회의를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