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007 |
---|---|
한자 | 栽松洞押海丁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Aphae Jeong Clan in Jaesong-dong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라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압해 정씨 세거지.
[개설]
압해 정씨(押海丁氏)의 시조는 대양군(大陽君) 정덕성(丁德盛)이다. 정덕성은 중국 당(唐)나라에서 대승상으로 있다가 853년(신라 문성왕 15) 나주 압해도(押海島)[현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면]로 망명하였다. 이에 정덕성의 무덤이 압해면에 있다. 이후 후손이 영광, 나주, 창원, 의성으로 분파하였다. 창원파 파조는 부승공 대사성 공사정공파계(副承公大司成公司正公派系) 정연방(丁衍邦)[22세손]이다.
[명칭 유래]
재송동은 재송포에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포구에 소나무가 수만 그루 서 있다고 하여 재송(栽松)이란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형성 및 변천]
1796년(정조 20) 현재의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 백길 마을에 살던 정응성(丁應星)이 재송동으로 이거하였다.
[자연 환경]
재송동은 동쪽으로는 장산[634m]을 중심으로 남동쪽으로 이어진 산줄기가 뻗어 있으며, 서쪽으로 수영강이 흐른다. 동쪽 산록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서쪽으로 흘러 수영강에 유입하며, 남쪽으로는 수영강이 바다로 유입하는 재송포가 있었다. 재송포는 본래 재송동 앞 수영강변에 자리 잡고 있던 포구로 주변에 소나무 숲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수영강 상류로부터 운반되어 온 토사로 메워지고, 이후 도시화로 그 흔적마저 사라져 버렸다.
[현황]
성세를 이루었을 때는 재송동에 압해 정씨 60여 가구가 있었으나 2013년 현재는 1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입향조 이하 38대까지를 모시는 장산재(萇山齋)가 있어 매년 10월 둘째 일요일에 제사를 지내는데, 40~50명이 참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