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감천동 경주 이씨 세거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984
한자 甘川洞慶州李氏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of Gyeongju Yi Clan in Gamcheong-dong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가구수 20여 가구
세거지 감천동 경주 이씨 세거지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경주 이씨 세거지.

[명칭 유래]

감천동의 옛 지명은 감내(甘內)다. ‘감(甘)’은 신(神)을 뜻하는 ‘’, ‘검’에서 유래되었다. ‘천(川)’은 ‘내’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천(川)·양(壤)·내(內)·군(郡)’ 등 마을을 뜻한다. 곧 감천은 ‘신성한 마을’이라는 의미다.

[형성 및 변천]

경주 이씨(慶州李氏)는 초기 신라의 6촌 중 알천 양산촌(楊山村)의 촌장인 표암공(飄巖公) 알평(謁平)을 비조(鼻祖)로 삼고, 신라 때의 인물로 진골 출신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을 실질적인 시조라고 할 중시조로 삼고 있다. 익제공파 이명득(李明得)이 1600년대 전반 감천동에 입향하였다.

[자연 환경]

감천동은 북쪽으로는 괴정동 공동묘지가 있는 높이 200m 내외의 산지가 있고, 남쪽으로는 감천만과 접한다. 또한 서쪽으로는 북동쪽의 천마산[326m]에서 장군산[152m]을 거쳐 암남 반도까지 연결되는 산자락이 있다. 감천만을 중심으로 한 해안가는 매립되어 옛 형태는 사리지고 감천항이 조성되어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경주 이씨감천동에서 14대 2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매년 음력 10월 첫째 일요일에 묘사를 지내는데, 참가자는 100여 명이다. 입향조 무덤이 감천동 동양시멘트 뒷산에 있다.

[참고문헌]
  • 인터뷰(감천동 경주 이씨 총무 이소우, 2013. 12. 1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