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86 |
---|---|
한자 | 甘川洞 |
영어의미역 | Gamcheon-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감천동(甘川洞)의 옛 지명은 감내(甘內)이다. ‘감(甘)’은 신(神)을 뜻하는 ‘’, ‘검’에서 유래하였다. ‘천(川)’은 ‘내’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천(川)·양(壤)·내(內)·군(郡’) 등 마을을 뜻한다. 곧 감천은 ‘신성스러운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형성 및 변천]
감천동 일대는 청동기 시대 유적인 감천동 고인돌[1964년 부산 화력 발전소 배후 도로 확장 공사와 도시화로 인해 현재는 사라지고 없음]이 이 지역에 자리하여 오랜 거주 역사를 알 수 있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사천면 관내에 있으며 관문에서 30리 거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사하면(沙下面) 감천리에 45호로 나타나며, 『한국 수산지(韓國水産誌)』[1910]에는 감천포에 123호라고 되어 있어 급속한 인구 증가를 알 수 있다. 1910년 부산부 사하면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사하면 감천동이 되었다.
1942년 부산부에 편입되며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1년 부산시 서부출장소 사하지소에 속하였다. 1957년 서구 사하출장소 감천동이 되었으며, 1959년 감천동이 행정적으로 감천 1동과 감천 2동으로 분동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75년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다. 1983년 서구에서 분구되어 사하구 감천동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이 되었다.
[자연 환경]
사하구의 북동쪽에 위치하여 북쪽은 괴정동, 서쪽은 구평동, 동쪽은 서구와 접하며 남쪽은 바다와 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괴정동 공동묘지가 있는 높이 200m 내외의 산지가 있고, 남쪽으로는 감천만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북동쪽의 천마산[326m]에서 장군산[152m]을 거쳐 끝자락에 있는 암남 반도까지 연결되는 산자락이 있다. 감천만을 중심으로 한 해안가는 매립되어 과거의 형태가 사라지고 감천항이 조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3.01㎢이며, 인구는 1만 1,115가구에 총 2만 2,279명으로 남자가 1만 1,033명, 여자가 1만 1,246명이다. 남쪽에 자리한 감천만은 부산항의 보조항으로서 수산물 냉동 공장이 밀집하여 있고, 해안을 따라 원앙로와 감천로가 배후 도로로 조성되어 있다. 또한 1962년 건설된 부산 화력 발전소가 있어 하루 30만kW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자연 마을로 감천 마을·안골새 마을·감촌 문화 마을[태극도 신앙촌, 태극도 마을]이 있다. 이 중 감천 마을은 감천만의 동쪽에 있던 작은 어촌으로 감촌리의 본동 마을이었으며, 감촌 문화 마을은 1955년 태극도 신도 약 3,000가구 1만여 명이 감천동으로 옮겨 오며 형성된 마을이다. 관내 행정동으로 감천 1동과 감천 2동이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09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2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3㎢이며, 인구는 1만 2,016가구에 총 2만 6,087명으로 남자가 1만 3,009명, 여자가 1만 3,078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3㎢이며, 인구는 1만 2,197가구에 총 2만 7,432명으로 남자가 1만 3,746명, 여자가 1만 3,686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