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360
한자 釜山市立國樂管絃樂團
영어공식명칭 Busan Metropolitan Traditional Orchestra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대연동 848-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악 관현악단
설립자 부산광역시
전화 051-607-3100
홈페이지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http://cafe.daum.net/bsgugag)
설립 시기/일시 1984년 5월 23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연주 실황 음반 제1집 출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제11회 봉생 문화상 공연 부문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연주 실황 음반 제2집 출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연주 실황 음반 제3집 출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9월 23~26일 - 제1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연주 실황 음반 제4집 출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5월 20~21일 - 창단 20주년 기념 부산 연주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6월 11일 - 창단 20주년 기념 서울 연주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7월 14일 - 창단 20주년 기념 대전 연주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9월 15~17일 - 제2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7월 23일 - 제3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9월 27~29일 - 제4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9월 11~13일 - 제5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 3~5일 - 제6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9월 23~25일 - 제1회 부산 국제 민족 음악 축제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0월 18일 - 제37회 청소년 협연의 밤 개최
최초 설립지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133번길 16[범일동 830-3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76번길 1[대연동 848-4]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76번길 1[대연동 848-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국악 전문 관현악단.

[설립 목적]

전통 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며, 국악 관현악곡을 창작하여 부산 지역의 국악 발전과 감상 인구 저변을 확대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釜山市立國樂管絃樂團)은 1984년 5월 23일에 창단하였다. 초대 지휘자 이의경[1984년 5월~1989년 12월], 2대 지휘자 김영동[1990년 3월~1992년 12월], 3대 지휘자 김용만[1993년 2월~1995년 12월], 4대 지휘자 배양현[1996년 2월~1998년 12월] 등을 거쳤다.

1999년 지역 문화 예술 창달의 공로를 인정받아 제11회 봉생 문화상 공연 부문 수상 단체로 선정되었다. 2002년 11월 5대 지휘자 박호성[2002년 11월~2009년 4월]이 취임하였다. 2004년 창단 20주년 기념 연주회를 마련하여 창작 국악 관현악곡을 연주하였다. 2004년 5월 20~21일 부산 연주회, 6월 11일 서울 연주회, 7월 14일 대전 연주회[대전 시립 연정 국악원 개원 23주년 기념 정기 연주회 초청]를 가졌다. 2010년 1월 1일 7대 지휘자로 김철호가 취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정기 연주회, 특별 연주회, 기획 연주회, 찾아가는 연주회, 토요 상설 공연, 지방 공연, 해외 공연 등을 하고 있다. 덴마크, 터키, 싱가포르, 인도,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인도네시아, 미국 등에서 해외 공연을 하였다.

2003년 9월 23~26일 제1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부산 문화 회관 주최], 2004년 9월 15~17일 제2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2005년 7월 23일 제3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2006년 9월 27~29일 제4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2007년 9월 11~13일 제5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 2008년 6월 3~5일 제6회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에 참여하였다. 이후 부산 전국 창작 국악 관현악 축제는 개최되지 않았다.

2008년 9월 23~25일 제1회 부산 국제 민족 음악 축제를 개최하였다. 9월 23일 중국 북경광파민족악단, 9월 24일 몽골 국립민속관현악단, 9월 25일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이 연주하였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연주 실황 음반도 출반하였다. 1998년 제1집[「만선」 등 수록], 1999년 제2집[「국악 관현악을 위한 축제」 등 수록], 2000년 제3집[「보리피리」 등 수록], 2004년 제4집[「가을의 기억」 등 수록]을 출반하였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이 위촉하여 창작한 곡들의 악보집인 『한국 음악 창작곡집』도 발간하였다.

[현황]

수석 지휘자 아래 악장, 총무, 기획, 홍보, 악보, 악기 담당 등 제작진과 대금, 소금, 피리,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타악, 성악 등 8개 부문 70여 명의 단원이 있다. 2012년 12월 현재 제165회 정기 연주회와 특별·기획 연주회[1500여 회]를 개최하였다. 대표적 특별 연주회인 청소년 협연의 밤은 2012년 10월 18일 제37회가 개최되었다. 이 외에도 청소년을 위한 해설 음악회,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특별 연주회, 「충렬사 제향(忠烈祠祭享)」 등을 개최하고 있다. 찾아가는 연주회는 부산광역시청 로비, 부산 지역 구청·도서관 강당, 공원 야외 무대, 사회 복지관 등에서 개최된다.

[의의와 평가]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전통 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며, 새 시대에 맞는 국악 관현악곡을 창작하고 있다. 부산 지역에 위치한 국내 정상급 연주 단체로서 중심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 부산의 예술 문화를 대내외에 알리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전인평, 『한국 음악사』(현대음악출판사, 2000)
  • 『문예 총감』(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 부산 문화 회관(http://culture.busan.go.kr)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http://cafe.daum.net/bsguga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