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133 |
---|---|
한자 | 瀛州洞 |
영어의미역 | Yeongju-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영주동(瀛州洞)의 옛 이름은 임소(任所)이다. 임소는 개항 후 외교 통상의 업무량이 늘어나면서 1890년(고종 27)에 설치한 감리서[현 봉래초등학교 자리]의 관원이 근무하는 직소(職所)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지역의 공식적인 동명이 영주동이 된 것은 감리서가 있던 영선산(瀛仙山)에서 유래하였다. 감리서 관원들이 영선산을 신선이 사는 삼신산의 하나인 영주산으로 빗대어 부르며 영주동이 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영주동은 조선 후기 동래부 사천면 신초량리에 속한 지역으로 청국영사관과 청국 전관 조계가 있었다. 1876년(고종 13) 초량 왜관이 일본인 전관 거류지로 변화되고, 이후 전관 거류지의 확대 과정에서 영선산 착평 공사(營繕山鑿平工事)[영주동과 동광동 경계에 위치한 영선산을 파낸 토석으로 바다를 매축하는 공사로 1909년 5월에 착공하여 1913년 3월에 준공하였다]가 이루어지며 일본인 전관 거류지와 연결되었다. 1913년 청국 조계가 폐지된 후에도 청국인이 밀집하여 중국인 거리로 불렀다.
본래 이 지역은 조선인 거주자가 없던 지역이었으나 개항과 더불어 전국 각처에서 상인 및 부두 노동자들이 모여들며 영주동 터널 위에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14년 부산부에 속하였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고, 1951년 중부출장소가 설치되며 6·25 전쟁으로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피난민들이 정착하며 인구가 증가하여 영주동이 설치되었다.
1957년 구제 실시로 중구 영주동이 되었으며, 1959년 행정동으로 영주 1동과 영주 2동이 분동되었다. 행정동인 영주 1동은 법정동인 영주동 일부와 대창동(大昌洞) 2가로 이루어져 있고, 영주 2동은 나머지 영주동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영주동은 중구의 북쪽에 위치하여 남쪽은 대청동과 중앙동, 동쪽은 중앙동, 서쪽은 서구, 북쪽은 동구와 접한다. 주거지는 구봉산 남쪽 자락 50~150m가량의 고지대에 조성되어 있다. 동명의 유래가 된 영선산은 동쪽 해안가에 있었다. 해발 40m가량의 독립 구릉 2개로 양산(兩山) 또는 쌍악(雙岳)으로 불렀는데, 1907년(순종 1) 부산포 매립에 필요한 석재를 공급하기 위해 깎아서 평지가 되고 현재는 지명만 남았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영주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63㎢이며, 인구는 6,315가구에 총 1만 1,271명으로 남자가 5,597명, 여자가 5,674명이다. 영주동은 부산 터널을 중심으로 부산의 동부산권과 서부산권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부산역, 부산항 국제 여객 터미널, 상해 거리[구 초량청관거리]가 인접하여 국내외 관광객, 특히 중국인, 러시아인 등 외국인이 많이 찾는다. 지리적 특성상 고지대에 자리 잡아 서민 밀집 지역으로 빌라와 다세대 주택이 많다. 일부 저지대에는 주택, 시장, 상가가 있다.
지금의 영주 1동 5번지와 9번지, 11번지 일대와 초량 1동 562-3번지 일대에 자연 마을인 청관 마을이 있었다. 이곳은 옛 청국영사관을 중심으로 한 중국인 마을로 1884년(고종 21) 청국영사관이 설치된 이래 청국 전관 조계지였으므로 청관 마을이라 불렀다. 이 지역은 광복 이후에도 중국인들의 집단 거주지로 존재하여 현재는 화교 학교와 중국 음식점, 중국 요리 재료상, 중국 약방, 중국 필방 등이 즐비하다. 최근 부산항을 통해 들어오는 러시아인이나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늘어나며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공존하는 외국인 거리로 조성되고 있다.
영주 2동 중앙 공원 [대청 공원이라고도 함] 입구에는 덕성사(德盛寺)가 있고, 덕성사 뒤에는 영주동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인 보은사(普恩寺)가 있다. 보은사는 영주암이라고 했는데, 1954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28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08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0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영주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63㎢이며, 인구는 6,631가구에 총 1만 2,701명으로 남자가 6,255명, 여자가 6,446명이다. |
2020.05.22 | 현행화 | [현황] - 빨간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영주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63㎢이며, 인구는 6,642가구에 총 1만 3,229명으로 남자가 6,514명, 여자가 6,715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