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976 |
---|---|
한자 | 南川洞 |
영어의미역 | Namcheon-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1.65㎢ |
가구수 | 11,255가구 |
인구(남, 여) | 26,237명[남 12,169명|여 14,068명]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용주면 남천리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경상남도 부산부 수영출장소 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경상남도 부산부 수영출장소 남천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수영출장소 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3년 - 경상남도 부산시 수영출장소 남천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대연출장소 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대연출장소 남천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경상남도 부산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남천동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남천동에서 부산직할시 남구 남천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2년 - 남천동 일부가 대연동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남구 남천동에서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으로 개편 |
법정동 | 남천동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금련산에서 발원하여 지금의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쪽으로 흘러내리는 하천이 남천(南川)이다. 이 남천의 동쪽에 형성된 마을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남천동(南川洞)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남촌면 하단(下端) 남천리로 동명을 확인할 수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남상면(南上面) 남천동으로 나타나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용주면 남천리가 되었고, 이후 남면 남천동에 속하였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 남천동이었으며,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가 되었다.
1953년 대연출장소 남천동이 되었다가 1957년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73년 부산진구 대연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으며, 1975년 남구가 신설되며 부산직할시 남구 남천동이 되었다. 1982년 법정동 명칭 변경 및 경계 조정으로 남천동의 일부가 대연동에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남구에서 분구되어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이 되었다.
[자연 환경]
남천동은 남쪽과 서쪽으로 남구 대연동, 북쪽으로는 수영구 광안동과 접한다. 북쪽에 금련산이 자리하고, 동쪽으로 남해안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65㎢이며, 인구는 1만 1,939가구에 총 2만 9,972명으로 남자가 1만 3,806명, 여자가 1만 6,166명이다.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풍경이 수려한 주거 지역으로, 부산 지하철 2호선과 대남 교차로, 광안 대로 진출입 램프 등이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다. 또한 KBS 부산방송총국과 남부산등기소, 남부산우체국, 부산도시가스 등 공공 기관이 밀집한 지역이기도 하다. 자연 마을로 대리 마을, 일패 마을, 이패 마을, 삼패 마을, 사패 마을이 있다. 행정동은 남천 1동과 남천 2동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23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0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65㎢이며, 인구는 1만 1,201가구에 총 2만 6,676명으로 남자가 1만 2,328명, 여자가 1만 4,348명이다 |
2020.06.01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65㎢이며, 인구는 1만 1,102가구에 총 2만 6,967명으로 남자가 1만 2,527명, 여자가 1만 4,440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