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771 |
---|---|
한자 | 開琴洞 |
영어의미역 | Gaegeum-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3.53㎢ |
가구수 | 26,741가구 |
인구(남, 여) | 54,619명[남 26,196명|여 28,423명]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동래군 서면 개금리 개설 |
변천 시기/일시 | 1936년 4월 1일 - 부산부 부산진구 출장소에 속함 |
변천 시기/일시 | 1946년 10월 1일 - 부산부 부산진구출장소 개금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8월 -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1월 1일 - 부산시 부산진구 개금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부산진구 개금동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개금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개금동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으로 개편 |
법정동 | 개금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개금동(開琴洞)이란 지명은 마을 형상이 마치 거문고와 같이 길게 늘어져 있는 형상이라 유래되었다는 설과 임진왜란 당시에 피난길을 헤매던 백성들이 이곳에서 들려오는 가야금 소리를 듣고 정착하였다는 설에서 기원하였다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개금동이 속한 지역은 조선 후기에는 동래군 동평면(東平面) 와요리(瓦要里)였고, 1914년 동래군 서면(西面)에 편입되면서 개금리라 하였다. 1936년 4월 1일 부산부 행정 구역 확장과 함께 설치된 부산진구출장소에 속하였으며, 1946년 10월 1일 부산부 부산진구출장소 개금동이 되었고, 1949년 8월 부제(府制)가 폐지되며 부산시로 개칭되었으며,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시행되어 부산진구 개금동이 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개금동, 1995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개금동은 북쪽으로 금정산에서 백양산으로 이어지는 산지이며, 남쪽으로 엄광산이 뻗어 있다. 중앙은 저지대이다. 개금동 서쪽과 주례동 사이에는 냉정 고개가 있는데, 경부선이 부설되고 일대 도로가 확장되면서 고도가 낮아져 지금은 고개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 개금 1,2,3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3.53㎢이며, 인구는 2만 6,741가구에 총 5만 4,619명으로 남자가 2만 6,196명, 여자가 2만 8,423명이다. 행정동으로는 개금 1동·개금 2동·개금 3동이 있으며, 자연 마을로는 개금리 마을·냉정 마을·삼거리 마을·안동네 마을이 있었다. 개금동은 부산진구의 서남쪽에 있어 남쪽으로 서구, 서쪽은 사상구, 동쪽은 가야동과 접한다. 개금동의 중앙에는 동서로 경부 철도와 도시 철도 2호선, 동서 고가로가 있어 부산 서면과 사상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관내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이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5.08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11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2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8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3.53㎢이며, 인구는 2만 6,362가구에 총 5만 8,271명으로 남자가 2만 8,134명, 여자가 3만 137명이다 |
2020.05.25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3.53㎢이며, 인구는 2만 6,084가구에 총 5만 9,720명으로 남자가 2만 8,901명, 여자가 3만 819명이다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