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83
한자 釜山女子高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 Girl's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산여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20번길 36[하단동 49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산거류민단
전화 051-200-0301
홈페이지 부산여자고등학교(http://busan-gh.hs.kr)
개교 시기/일시 1906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고등여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09년 6월 15일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 50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3가 12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46년 4월 5일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3가 12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1가 53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75년 5월 1일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1가 53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20번길 36[하단동 495-1번지]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06년 11월연표보기 - 부산공립고등여학교에서 부산거류민단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2년 4월연표보기 - 부산거류민단립고등여학교에서 부산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 9월연표보기 - 부산공립고등여학교에서 부산공립여자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8월 3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여자중학교에서 부산여자고등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공립고등여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 1가 50
주소 변경 이력 부산거류민단립고등여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3가 12
주소 변경 이력 부산공립고등여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1가 53
주소 변경 이력 부산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20번길 36[하단동 495-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20번길 36[하단동 495-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자활하는 사람이 되자, 협동하는 사람이 되자, 근면한 사람이 되자’이다.

[변천]

1905년(고종 42) 11월에 고교서(高橋恕)[당시 부산공립고등소학교장] 외 유지의 주도로 거류민단에서 고등 여학교 신설의 건이 가결되었다. 1906년(고종 43) 4월 1일에 부산공립고등소학교 내에 거류민단 경영의 부산공립고등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수업 연한 3년 과정이었다. 1906년 11월에 거류민단법 실시와 함께 부산거류민단립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07년(순종 1) 1월에는 통감부로부터 지정 학교가 되었으며, 그해 4월 1일에 수업 연한이 4년 과정으로 되었다. 1909년(순종 3) 4월에 본과 외에 기예 전수과[2년 과정]를 설치하였으며, 그해 6월 15일에 토성정[현 경남중학교 자리]에 교사를 신축하고 이전하였다. 1912년 4월에 경상남도 소관이 되어 부산공립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14년 거류민단 폐지로 학교 조합으로 이관되었으며, 1925년 4월에 수업 연한이 5년으로 정해졌다. 1931년 4월에는 부산 제1특별경제로 이관되었다. 1946년 4월 5일에 서구 서대신동 1가 53번지로 이전하였고, 그해 9월에 부산공립여자중학교[6년제]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0년 7월부터 6·25 전쟁으로 인한 교사 징발을 당하였다. 1951년 8월 31일에 학제 개편으로 부산여자고등학교와 부산서여자중학교로 개편하였다. 1959년 4월 21일 8년 9개월 만에 교사 징발 해제로 본 교사에 수복하였다. 1975년 5월 1일에는 현재 위치인 사하구 하단동으로 이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65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3만 313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여자고등학교는 중점 활동으로 첫째, 학년 중심의 학력 신장으로 교과별, 학기별 수능 1등급 올리기, 담임 중심의 학급 경영을 전개하고 있다. 둘째, 배움이 실천으로 연결되는 인성 교육으로 전 교원의 참여 지도와 진로 상담, 문화 예술, 언어문화, 웃음과 감동을 주는 인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셋째, 수석 교사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넷째, 동백 토요 School 운영, 다섯째, 다양한 멘토링제 운영, 여섯째, 교직원 동아리 활성화, 일곱째, 우수 학생 해외 연수 실시, 여덟째, 전국 우수 대학 탐방 기회 확대, 아홉째, 수학여행, 소풍 등 주제가 있는 현장 체험 학습 실시, 열 번째, 특기 적성 심화 동아리 운영, 열한 번째, 교과별 심화 동아리와 프로젝트 학습 실시, 열두 번째, 독서 교육, 생활 영어 교육 강화, 열세 번째, YP[학생 리더십] 운영, 열네 번째, 진로 진학 교육 강화이다.

학교 특색 사업은 첫째, 바른말 고운 말 언어생활 지도를 통한 바른 인성 함양으로, 우리말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가짐과 섬세하고 아름다운 감각으로 우리말을 가다듬어 민족과 함께 존재해 온 소중한 문화유산인 우리말을 아끼도록 하고 있다. 둘째, 동백 합창 대회 운영으로, 합창을 통하여 협동심을 기르고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협동적으로 표현하며, 아름다운 심성을 계발하여 보다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며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1년 4월에 교육과학부 지정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승자/ 작곡 함이영]

새벽빛 찬란히 동트는 아침/ 태백은 밝아 오고 낙동물 소리 있어/ 갸륵한 별들 그리움에 모여든 곳/ 아아 부여고 부여고 순성의 딸들/ 펼쳐진 한바다로 달리는 푸른 꿈은/ 영롱히 빛나는 역사의 별이어라.

2. 교표: 자주색 바탕에 부산여자고등학교의 머리글자 ‘ㅂ’을 형상화하고, 그 주변을 고등학교 ‘고’의 변형을 둘렀다. 자주색은 교화인 동백꽃 색깔이다.

3. 교화: 동백꽃이다. 사계절 늘 짙푸른 잎새를 지니면서 이른 봄에 그 잎 사이로 붉은 꽃을 내미는 동백의 기상을 본받고자 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4학급에 1,170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1학급에 371명, 2학년은 11학급에 367명, 3학년은 11학급에 432명이 재학하고 있으며, 개별 교육 학급이 1학급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69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20명으로 총 91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7만 9357㎡로, 이 중 본관 면적이 3,450㎡, 학생관 면적이 4,207㎡, 가정관 면적이 1,813㎡, 강당 면적이 2,675㎡, 승학관 면적이 1,728㎡이다. 어문 교육실, 물리과 연구실, 가정과 연구실, 체육과 연구실, 화학 실험실, 컴퓨터실, 음악실, 미술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