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342 |
---|---|
한자 | 釜山南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Nam High School |
이칭/별칭 | 부산남고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북로 5[동삼동 59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명희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건강한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정의, 협동, 노력’이다.
[변천]
1954년 4월 4일에 부산남고등학교 설립기성회를 조직하여, 1955년 4월 2일에 영도구 남항동 부산남중학교 교내에서 개교하였다. 1956년 4월에 영도구 신선동에 가교사를 지어 이전하였고, 1957년 5월에 신선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1962년 1월에 다시 부산남중학교 교내로 이전하였고, 1971년 4월 26일에 영도구 청학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1974년 7월 24일에 영도구 동삼동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2011년 3월 2일에 제26대 장성욱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56회 졸업식을 통해 186명이 졸업하여 총 2만 298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남고등학교는 맞춤형 진로 교육 강화, 학력 신장 강화 노력, 공감의 학교 문화 조성, 인성 교육 강화 등을 통한 전인 교육의 구현에 힘쓰고 있다. 팀 단위 운영 강화를 통한 자율과 참여의 문화 조성, 배움과 돌봄의 문화 정착, 등굣길 반갑게 맞이하기, 부자(父子) 캠프, 지역 사회 대상 테마형 봉사 활동, 애니메이션 활용 인성 교육, 뮤직 테라피 등을 통한 인성 함양, 교육 과정의 특성화, 수업 방법 개선, 자발적 학습 풍토 조성, 방과 후 학습 내실화, 교사 연구 활동 지원 등을 통한 학력 신장, 자기 이해와 직업 세계 탐색을 통한 맞춤식 진학 지도에 따른 진로 교육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05년 1월 31일에 교육부로부터 전국 교육 과정 최우수 학교 표창을 수상하였고, 2008년 5월 15일에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아름다운 학교 공동체 교육 자치 부문 우수 학교로 선정되었다. 2009년 12월 24일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학교 평가 최우수 학교로, 그해 12월 31일에는 학력 향상 우수 학교와 학교 교육 과정 자율화 우수 학교로 각각 선정되었다. 2010년 3월 2일부터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란 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법의 전인 교육을 시도하는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가 육성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립 고등학교이다. 2011년 12월 30일에 대한민국 좋은 학교 박람회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작곡 손영세]
백두산 뻗은 정기 마지막 맺혀/ 솟으니 절영도라 파도치는 곳/ 삼천리 이 국토 등 뒤에 지고/ 태평양 창파만경 가슴에 안고/ 세기를 선구할 이 예서 자란다/ 새벽빛 동이 트는 부산남고.
2. 교목: 해송이다. 억센 잎사귀로 세찬 바닷바람을 마주하고 까만 줄기로 강렬한 바다 햇볕에 맞서 꿋꿋하게 살아가는 해송과 같은 부산남고등학교 학생을 상징한다.
3. 교화: 동백이다. 영하의 추위 속에서도 묵묵히 꽃을 피워 내는 강인한 지조의 동백은 시들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절정의 순간에 꽃을 떨구는 구차하지 않은 당당함을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4학급에 570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8학급에 190명, 2학년은 8학급에 203명, 3학년은 8학급에 177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54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5명으로 총 71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3만 1339㎡로, 과학실[스마트실], 영어실, 음악실, 미술실, 컴퓨터실, 도서관, 체육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