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818
한자 慧苑精舍
영어의미역 Hyewonjeo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68번길 47[연산동 1113-5]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5년연표보기 - 혜원정사 창건
중수|중창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혜원정사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5월 6일 - 혜원정사 팔상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
최초 건립지 혜원정사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68번길 47[연산동 1113-5]지도보기
현 소재지 혜원정사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68번길 47[연산동 1113-5]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고산
전화 051-866-7771
홈페이지 혜원정사(http://www.hyewon.or.kr)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1925년 김덕만, 김순임 내외가 금동불을 조성하여 이곳에 3칸 목조 건물을 지은 것이 혜원정사(慧苑精舍)의 시작이었다. 내외는 30여 년 간 이곳을 수행처로 삼았고, 부부가 사망한 이후에 자손들이 10여 년 정도 더 사찰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이후 거의 폐사에 이르렀다가 1975년 승려 고산(皐山)이 이 절터에 사찰을 다시 세웠다. 고산은 육화전, 대웅전 등 큰 불사를 연차적으로 거듭하며 3만 3000여㎡의 넓은 대지에 명심전, 만불전 등 10여 동의 건물을 가진 손색없는 도량의 모습을 갖추었다.

[활동 사항]

일반인들을 위한 시민 선방과 철야 기도객들을 위한 24시간 산문 개방을 실시하고 있다. 혜원정사는 지역 내 각급 학교와 연대한 수많은 장학 사업[고산장학회], 복지 사업[사회 복지 법인 혜원]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특히 청소년 포교에 중점을 두고 어린이회부터 청년회까지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혜원정사 가람 구성은 크게 3단으로 나눌 수 있다. 상단에는 금당인 대웅보전과 첨성각, 방장실 등이 있고, 방장실 앞에 5층 석탑이, 대웅보전과 방장실 사이에 석조 해수 관음상이 서 있어 사찰의 중심 구역을 이루고 있다. 중단에는 강당으로 이용하는 육화전(六和殿), 승려들의 수행처와 시민 선방이 있는 명심전이 있다. 하단에는 천왕문과 범종루, 만불전, 요사인 안심료, 종무소, 공양간, 해우소 등이 있다. 나한전과 삼성각은 이 3단 영역과는 별도로 사찰 좌측 산비탈에 배치되어 있다.

1989년에 지은 대웅보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중앙에 석가모니불 본존상과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석가모니불 좌측 본존불은 약사불로 좌우에 지장보살과 일광보살을, 석가모니불 우측 아미타불 본존과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하였다. 2층 건물인 육화전은 법회 장소로 이용되며 중앙에는 아미타 삼존불 좌상과 후불탱이 모셔져 있다. 명심전은 주지의 거처와 시민 선방으로 이용하고 있다. 만불전은 3층 건물로 1층은 선재어린이집, 2층은 강의실, 3층은 만불전으로 24시간 개방되어 시민들의 정진 공간으로 이용된다.

[관련 문화재]

관련 문화재로 혜원정사팔상도[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