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470 |
---|---|
한자 | 電氣府營化運動 |
영어의미역 | Electricity Popularization Movement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전성현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의 전기, 전차, 가스의 부영(府營)을 주장한 주민 운동.
[역사적 배경]
일제 강점기 전력 공급과 관련한 문제 가운데 가장 큰 파문을 일으켰던 것은 이른바 전기 부영화 운동이었다. 서울의 경우 경성전기주식회사가 공급하는 전기 요금이 너무 고가였기 때문에 전차의 운영에서도 폭리를 취하였다. 경성전기주식회사의 주주는 거의가 도쿄[東京]에 거주하는 일본인이고 조선인 소유 주식 수는 겨우 20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는 등의 논의는 이미 1924년 초부터 일어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여론을 반영하여 동아일보와 같은 조선인 신문은 1924년 전기료 감액 문제에 관한 특집 기사를 다루는 등 시민의 의견과 불평을 모아 기사화하였다.
1920년대 전기 부영의 여론에 더욱 불을 붙인 것은 평양 전기 부영의 실현이었다. 1922년에 전기 궤도 사업을 부영으로 시작한 평양부는 “전력 공급 자체가 지나친 폭리이니 전력 공급 일체를 부영으로 하라”는 강력한 부민 운동의 압력으로 평양전기주식회사가 경영권을 포기하다시피 하게 되자 평양부가 120만 원으로 이를 매수, 1927년 3월 1일부터 부영으로 전기 사업을 운영하기 시작하여 큰 성과를 올렸다. 평양 전기 부영화의 성공은 삽시간에 전 조선 내 각 도시로 파급되었다. 경성부를 비롯하여 대구·부산·진남포·함흥 등 대도시를 비롯하여 중소 도시에서도 전기 부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하였다.
[경과]
부산 지역의 전기 부영화 운동은 평양 부윤으로 재직하다가 1919년 5월에 부산 부윤으로 전임해 온 본전상길(本田常吉)이 1921년 5월에 전차 부영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시작되었다. 전임해 온 부윤의 주장에 대해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의 중역이자 협의원을 겸하고 있던 부산의 실력자들인 박간방태랑(迫間房太郞), 대지충조(大池忠助), 향추원태랑(香椎源太郞), 수야엄(水野嚴) 등은 분개하여 부협 의원의 사표를 제출함으로써 대항하였다.
부윤의 의지와 함께 대다수 부민들도 부영을 절실하게 희망하고 있었기 때문에 1922년 6월 17일 부산부가 일부 협의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부산부협의회에 ‘전차 부영 안’인 ‘자문 안 제27호 전차 매수에 관한 건’을 상정하여 처리하였다. 이어서 1923년 2월 26일 부산부협의회에서 전차부영운영위원회를 구성함으로써 부영화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후 부윤의 잦은 교체로 부영화의 실행이 미루어져 오다가, 1926년 9월에 이르러 부민 운동 차원의 ‘부산 전기 부영 문제 발기인회’를 열고 부산부협의회 협의원 개천완일랑(芥川完一郞)을 좌장으로 하는 1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실행 위원회를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특히 1926년 6월 이후 평양부의 전기 부영화 운동이 빠르게 진척되어 평양부와 평양전기회사 간의 매도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데서 자극을 받은 탓도 컸다. 그 결과 전기 부영화 문제는 1926년 11월 제3기 부면협의회 총선거를 앞두고 부산부협의회 협의원 선거의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따라서 많은 후보자들은 전기 부영화 문제의 조속하고 적극적인 해결을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다.
1926년 11월 선거가 끝나고 새로 구성된 제3기 부산부협의회는 출범과 함께 전기 부영화 문제를 최우선 선결 과제로 다루었다. 그리하여 1927년 6월 부산부협의회는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의 전기 사업을 매수하여 부산부의 부영으로 하는 ‘중대 자문 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하였다. 이후 부산부협의회 내부의 전기 부영화 운동 주도 세력은 ‘전기부영화기성동맹회’를 결성하여, 전기 부영화 사업을 실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사업의 실현을 위해 조선총독부와 본국 정부에 청원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에 압력을 가하여 그들이 제시하는 적정 가격으로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를 부산부에 매도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한편 전기 부영화를 적극적으로 관철시키고자 하는 협의원들은 이른바 ‘기성회파’를 결성하고 부산부협의회의 이름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전차 전기 부영화를 위한 부민 대회를 개최하고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여론전을 전개하였다. 특히 이 운동에는 부협 의원인 천도희휘(川島喜彙)가 사장으로 있었던 부산의 대표적인 일본인 언론인 조선시보(朝鮮時報)가 적극적으로 앞장을 섰다. 이와 달리 또 다른 부산의 일본인 언론인 부산일보(釜山日報)는 이 문제에 대하여 매우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 부영화를 둘러싼 양 언론의 대립은 마치 부산부협의회와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의 대리전으로까지 비춰졌다.
[결과]
1928년 말 부산부협의회 기성회파를 중심으로 하는 부민 대회의 개최 등 여론 압박과 함께 부산부와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 간의 협상이 진행되었고 쌍방이 제시하는 가격이 맞지 않아 여러 번 결렬, 역전을 거듭하다가 1928년 말 당시의 경상남도 지사가 조정에 나선 결과 겨우 타협이 이루어졌다. 이듬해 7월의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 임시 주주 총회에서 매각 계약 안 등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세계적 불경기 때문에 극단적인 긴축 정책을 표방하였던 일본의 빈구웅행(濱口雄幸) 내각에서는 부산 전기 부영을 위한 기채 승인 안을 허가하지 않았다. 결국 장장 8년간이란 긴 세월에 걸친 전기 전차 부영 안은 실현되지 못하고 유야무야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부산의 전기 부영화 운동은 평양과 달리 오랜 시간에 걸친 논의에도 불구하고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는 전통 도시로서 조선인들의 세력이 큰 여론을 형성할 수 있었던 평양과 달리, 부산은 일본인 유력자에 의해 여론이 좌지우지될 수밖에 없는 식민 도시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이와 같이 전기 부영화 운동은 당대 유력 도시의 사례와 비교 연구를 통해 식민 도시 부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연구 주제가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