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167
한자 荒嶺山烽燧臺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in Hwangryeong Mountai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산53-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정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봉수대
관리자 부산광역시 남구청
폐지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폐지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연표보기 - 복원
현 소재지 황령산 봉수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산53-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황령산에 있는 조선 시대의 봉수대.

[개설]

황령산 봉수대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석성 봉수대간비오산 봉수대와 더불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425년(세종 7) 이전부터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동쪽으로 해운대에 있는 간비오산 봉수대와 북쪽으로는 범어사 동북쪽에 있는 계명산 봉수대와 연락하였다고 한다. 황령산 봉수대는 1976년 부산시에서 학술 조사를 거쳐 복원하였다. 당시의 조사 기록이 남아 있지 않으나, 조사에 관여한 사람의 전언으로는 봉수대의 하부 구조만 잔존하였는데 일직선상의 구들이 횡으로 5줄 있었다고 한다.

[건립 경위]

부산은 왜구의 침입이 항상적으로 있어 왔던 곳이다. 그래서 세종(世宗) 연간에 봉수대가 대대적으로 설치 또는 정비되었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설치된 것이다.

[현황]

현재 5개의 연굴(烟屈)과 4각형 굴뚝, 그 앞에 원형 화덕 5개가 설치된 부뚜막 형식의 봉수대가 복원되어 있는데, 이는 개항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1976년에 군부대의 협조로 복원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현재 복원된 상부 구조는 당시의 발굴된 상태를 기본으로 문헌의 기록과 유사하게 만든 것으로, 차후 인근 봉수대의 발굴 성과를 참고로 하여 정확한 고증·복원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