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632
한자 朝鮮時代-城郭-關防
영어의미역 Castles and Border Defense in the Joseon Dynasty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강식

[정의]

조선 시대 부산 지역에 있던 육군과 수군의 방어 체계와 주요한 성곽.

[개설]

왜구의 침략이 많았던 부산 지역에는 관방(關防) 체계가 갖추어져 있었다. 육군은 조선 전기에는 동래현(東萊縣)이 경주 진관에 속하였다가 임진왜란 이후 1655년에 동래가 독진(獨鎭)이 되었다. 수군의 경우는 경상 좌수영 아래에 부산포영, 해운포영, 서평포영 등이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경상 좌수영 관할의 대부분의 진들이 부산에 집결하여 7진을 이루었다. 우리나라에서 일본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 부산이었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에 진성(鎭城)이 많이 축조되었다. 대표적으로 부산진성, 동래읍성, 금정산성, 좌수영성 등이 새롭게 축조되거나 고쳐 쌓아졌다.

[진관 체제]

조선 시대에 지방의 군제는 진관 체제였다. 진관 체제는 각 도에 절도사를 육군의 병영(兵營), 수군의 수영(水營)에 파견하고, 정해진 관내의 군사적 요충에 몇 개의 거진(巨鎭)을 둔 다음, 그 밑에 여러 개의 진보(鎭堡)를 두는 방식으로 편성하여 지휘권을 독립적으로 갖게 한 제도이다.

부산 지역의 경우 육군은 조선 전기에 동래현에 있었다. 동래현은 울주군 등과 함께 울산에 있었던 경상 좌병영 관할 하의 경주 진관에 속하는 여러 진 가운데 하나로 동래 현령이 절제도위(節制都尉)의 군직을 겸하고 있었다. 1547년 동래현이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자 동래 부사가 첨절제사(僉節制使)의 군직을 가지고 동래부(東萊府) 일원의 육군을 지휘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동래부의 군사적인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효종(孝宗) 때 독립 진으로 승격되었다. 1655년 동래진을 경주 진관에서 떼 내어 독진(獨鎭)으로 승격시켜 인근의 양산군과 기장현 소속의 군사까지도 통합하여 지휘하게 하였다. 이때 동래 부사는 무관직인 첨절제사 직을 겸직하면서 경주 부윤으로부터 군사 지휘권을 인수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진관이 해체되는 1895년까지 지속되었다.

부산 지역의 수군의 경우 경상 좌도에는 동평현 부산포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다. 그 관할 하에 부산 진관이 설치되고, 그 밑에 두모포 등 10개의 만호영이 있었다. 이 가운데에서 동래현 관내에는 부산포진, 해운포영, 다대포영이 있었다. 임진왜란 직전 해운포영이 없어지고 다대포영이 첨사영으로 승격되었으며, 태종(太宗) 때 울산 개운포로 옮겨졌던 좌수영이 다시 동래 남촌면의 수영으로 옮겨졌다. 경상 좌수영 관내에는 2개의 첨사영과 8개의 만호영이 있었다. 성종(成宗) 연간에는 부산포와 다대포성에 축성이 이루어졌다. 이후 1544년(중종 39)에 진관 체제의 변경이 있었다. 이에 가덕도에 진관이 신설되었으며, 천성포가 신설되었다.

경상 좌수영성은 경상 좌도 수군의 총사령부라 할 수 있는 주진이다. 원래 좌수영은 동래 감만이포에 있었는데, 태종 때 울산 개운포로 옮겼다가 1592년에 다시 동래 남촌으로 옮겼다고 하지만, 그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1635년에 사천의 홍수로 말미암아 선창의 수로가 매몰되어 뱃길이 통하지 않게 되어 다시 감만이포로 옮겼다. 하지만 이곳은 왜관과 가까운 곳이어서 군사상의 기밀이 누설될 우려가 있다 하여 1652년에 다시 동래 남촌으로 옮겼다. 그 후 좌수영은 군역법 시행 후 수군 군량미의 부족으로 10진에서 7진으로 줄어들었으며, 1895년 7월에 군제 개혁으로 수영이 폐지될 때까지 이곳에 있었다.

[주요 성곽]

조선 전기의 성곽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성곽조에 동래읍성, 부산포진성, 해운포영, 다대포영이 있었다. 조선 후기 동래부의 군사 시설의 강화는 구체적으로 동래읍성과 금정산성의 수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읍성의 수축은 방위 개념이 유성전수(留城戰守)[성에 주둔하면서 싸워 지키는 전술]의 방위 개념의 도입과 관련이 있다. 이에 영조(英祖) 연간에 동래읍성이 크게 수축되고, 금정산성도 대규모로 정비되었다. 조선 시대에 부산 지역에는 크고 작은 30여 개의 성곽이 배치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