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32
한자 草梁聖堂
영어의미역 Choryang Cathedral
분야 역사/근현대,종교/기독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상로79번길 15[초량2동 94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건물|성당
양식 기능주의 양식+철근 콘크리트조
소유자 재단법인 천주교 부산교구
관리자 천주교 초량성당
건립 시기/일시 1962년 7월연표보기 - 건물 완공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본당 내 제대와 제단, 강당 개·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3년 1월연표보기 -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교육관 준공
현 소재지 초량성당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2동 945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2동에 있는 기능주의 양식의 성당 건물.

[위치]

초량성당(草梁聖堂) 건물은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2동 945번지에 위치한다. 부산 지하철 1호선 부산역과 초량역 사이에 있다.

[변천]

초량성당 건물은 1962년 7월에 완공되었고, 1996년에 제대와 제단, 강당 등을 개·보수하였다. 2003년 1월에는 성당 옆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교육관을 준공하였다.

[형태]

연면적 1,391.87㎡의 지상 5층 건물이다. 철근 콘크리트조의 본 건물은 고딕의 건축 양식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것인데, 이는 종탑과 모든 파사드[건축물의 주된 출입구가 있는 정면부]에서 보이는 수직으로 높이 올린 형식과 스테인드글라스 등에서 잘 나타난다. 내부는 중 2층으로 되어 있으며, 원형 계단이 특이하다. 본당 앞에 신축한 건물의 위치적 특성도 교회 건축의 특징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언덕에 위치하여 3층의 건물임에도 경사지의 특성을 살려 2층에서 바로 출입할 수 있도록 유동성 있게 계획되었다. 또한 내부에는 창이 많아 많은 빛이 예배당 내부 깊숙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였다.

공간 구성은 집회 공간인 성전이 가장 높은 층에 위치하고 부속실들이 아래층을 점유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대지의 형상에 맞추어 축조되었으며, 공간 형식도 기능성을 우선으로 고려한 기능주의 성당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을 갖고 있는 부산·경상남도 지역의 대표적인 성당으로는 김해성당, 양정성당, 괴정성당 등이 있다.

[현황]

현재 초량성당 건물의 소유자는 천주교 부산교구 유지재단이고, 관리자는 천주교 초량성당이다.

[의의와 평가]

초량성당 건물은 부산 지역 가톨릭 성당 건축 중 경제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기능주의 성당의 대표적인 건축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