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306
한자 梵魚寺觀音殿
영어의미역 Gwaneum-jeon Pavilion at Beomeo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현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불전
양식 주심포식 겹처마 맞배지붕
정면칸수 5칸
측면칸수 3칸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개축|증축 시기/일시 1613년연표보기 - 묘전 화상이 중창
개축|증축 시기/일시 1721년연표보기 - 승려 홍보가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8년연표보기 - 범어사 금어선원 자리로 옮겨 지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9월 16일연표보기 - 「범어사 관음전 백의 관음보살도」가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53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1월 25일연표보기 - 범어사 관음전 목조 관음보살 좌상이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개설]

관음전(觀音殿)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하는 법당이다. 관세음보살의 서원이 철저하게 중생의 안락과 이익에 있고, 불가사의한 인연과 신력(神力)으로 중생을 돕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사찰에 많이 세워져 있다.

[위치]

범어사 관음전(梵魚寺觀音殿)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범어사 경내에 위치한다.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보물 제434호]을 중심으로 반대쪽의 범어사 지장전(梵魚寺地藏殿)과 함께 협시하는 식으로 좌우에 자리하고 있다.

[변천]

범어사 관음전의 초창 연대는 확인된 바 없으며, 부산 범어사 대웅전과 함께 1613년(광해군 5) 묘전 화상(妙全和尙)이 중창하였다. 1721년(경종 1) 승려 홍보가 다시 중건하였고, 그 후에 크게 개조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부산 범어사 대웅전 남쪽 사리탑 자리에 있던 것을 1938년 7층 석가세존 사리탑을 세우면서 범어사 금어선원(梵魚寺金魚禪院) 자리로 옮겨 지었다.

[형태]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축조되었으며, 기둥 위에만 포작(包作)한 주심포식 목구조로 결구되어 있다. 포작은 일출목을 짧게 내어서 행공첨차를 걸고 그 위에 장혀와 보뺄목을 결구하여 외목도리를 받쳤다. 덤벙 초석 위에 두리기둥을 세우고 보머리를 받치는 익공(翼工)을 창방과 교차시켜서 주두를 받쳤으며, 그 위에 파련 초각한 익공과 봉두(鳳頭)를 초각한 보뺄목을 받게 하였다. 양쪽 귓기둥을 제외한 중간의 세 기둥은 용두(龍頭)를 초각하여 익공을 받게 하였다.

[현황]

현재 범어사 관음전에는 2003년 9월 16일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된 「범어사 관음전 백의관음보살도(梵魚寺觀音殿白衣觀音菩薩圖)」가 있으며, 2006년 11월 25일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된 범어사 관음전 목조 관음보살 좌상(梵魚寺觀音殿木造觀音菩薩坐像)이 본존으로 봉안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 관음전은 조선 후기의 주심포 건축 양식과 결구 수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