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1712 |
---|---|
한자 | 長庚寺極樂寶殿 |
영어음역 | Janggyeongsa Daeungbojeon |
영어의미역 | Main Temple of Janggyeong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484-9[학일로130번길 11-25]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박정미 |
성격 | 불교건축 |
---|---|
양식 | 다포계 팔작지붕 |
건립시기/일시 | 고려 후기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3칸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484-9[학일로130번길 11-25]![]() |
소유자 | 장경사 |
전화 | 031-332-8981 |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학일리에 있는 고려 후기 장경사의 중심 불전.
장경사(長庚寺)는 고려 후기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등을 만든 경한선사가 창건한 절이다. 경한선사는 백운화상이라고도 불리는데, 선교일체(禪敎一體)를 주장하며 고려 후기 불교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불교관을 보였다.
장경사 극락보전은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의 쌍령산[해발 502m] 북동 능선 해발 약 150m 위에 동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장경사 가람의 중심 불전으로, 평탄하게 닦은 터에 평지보다 한 단 높게 돌기단을 쌓은 위에 동남쪽을 향하고 서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栱包)를 얹은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 건축이다. 내부에 불단을 두고 중앙에 아미타불을 봉안하였으며, 왼쪽에는 머리에 두건을 써서 지장보살로 보이는 석조 보살좌상이 있고, 그 뒷면에 지장보살탱화를 걸었다. 오른쪽에는 산신탱화를 봉안하고, 내부 오른쪽 벽면에는 신장탱화를 봉안하였다. 장경사 산신탱화는 1897년(광무 원년)에 조성한다는 화기(畵記)가 남아 있어 절의 역사를 전해 주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