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1117 |
---|---|
한자 | 金爀獨立運動記念碑 |
영어음역 | Kim Hyeok Dongnip Undong Ginyeombi |
영어의미역 | Independence Movement Monument of Kim Hyeok |
이칭/별칭 | 김혁 선생 독립운동기념비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인영 |
성격 | 기념비 |
---|---|
양식 | 방부이수형 |
건립시기/일시 | 1985년 8월 15일![]() |
관련인물 | 김좌진 |
재질 | 오석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마을 |
소유자 | 경주김씨 갈천공파 종친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에 있는 일제강점기 김혁의 독립운동을 기리는 비.
김혁(金爀)[1875~1936]의 본명은 학소(學韶), 호는 오석(吾石)이고 경주김씨 갈천공파, 김원립의 11세손이다. 1875년 10월 6일, 용인시 기흥구 농서동에서 출생, 육군정위로 경성시위대 보병으로 근무하다가 군대의 해산으로 낙향하였다.
1919년 3월, 용인 신갈지역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한 후 만주로 망명하였고, 그 후 신민부 집행위원, 성동사관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면서 김좌진 장군 등과 함께 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김혁 독립운동기념비는 1985년 8월 15일에 경주김씨 갈천공파 후손들이 독립운동에 혁혁한 공적을 남긴 김혁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
현재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 강남대학교 입구 좌측의 공원에 있다. 본래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을 지나는 국도 42호선 변에 있었으나 구갈지구 택지개발공사로 인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방부이수의 형태이며, 비좌는 화강암으로 비좌 상단에 16판의 연판이 조식되어 있고, 가첨석 역시 화강암으로 이수를 조식하였다.
김혁 독립운동기념비 비양(碑陽)에는 “오석김혁선생독립운동기념비(吾石金爀先生獨立運動紀念碑)”라고 새겼고, 비문은 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김윤식이 짓고, 글씨는 13대 종손 김진구가 썼다. 음기에는 김혁의 생몰 연기와 독립투쟁 경력, 그리고 1936년 8월 25일 세상을 떠나기까지 김혁의 행적을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