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866 |
---|---|
한자 | 李尙敬 |
영어음역 | Lee Sanggyeong |
이칭/별칭 | 이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안장리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석(頤奭). 정종(定宗)의 왕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7세손이고, 아버지는 사직서참봉(社稷署參奉) 이전(李瑑)이다.
이상경(李尙敬)[1609~1674]은 인조 대부터 현종 대까지 활동하였으며, 1636년(인조 14)에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宣傳官)으로 등용되어 도사(都事)가 되었다. 병자호란 때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을 수행하여 적도 심양(瀋陽)으로 갔다가 봉림대군의 신임을 얻었으며, 귀국 후에는 평안도병마우후(平安道兵馬虞候)가 되었는데 김자점(金自點)의 부정행위를 보고 사직하기도 하였다.
김해부사(金海府使)·중화부사(中和府使)를 거쳐 1649년(효종 즉위)에 경기도수군절도사(京畿道水軍節度使)가 되었으며, 춘천부사(春川府使)·정주목사(定州牧使)를 거쳐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에 있다가 문촌리전주이씨 역천군파 묘역으로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