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623 |
---|---|
한자 | 日山里先史遺蹟 |
영어음역 | Ilsan-ri Seonsa Yujeok |
영어의미역 | Prehistoric Archeological Sites in Ilsan-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 산19|산18-1임|산23-1임 일원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엄익성 |
성격 | 유물산포지 |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 산19|일산리 산18-1임|일산리 산23-1임 일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일산리 선사유적은 세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산19번지 일대의 일산리 선사유적1, 산18-1 일대의 선사유적2, 산23-1의 선사유적3으로 구분한다.
일산리 선사유적1은 모현읍 매산리에서 왕산리로 가는 도로를 따라 왕산대교 바로 전에 북쪽으로 난 농로로 진행하면 가일리 낚시터에 이른다. 이 낚시터 입구에서 서쪽으로 난 산길을 따라 산정상부에 이르면 산길을 확장한 절개지가 나타나는데 이 곳이 유적 중심지이다.
선사유적2는 산사유적1이 위치한 산정부의 소로를 따라 계속 진행하면 능선을 따라 일주하게 되는데, 매산리로 넘어가는 작은 고갯마루 하단부의 민묘 주변이다. 선사유적3은 일산리 하마산 정상부 일대에 형성되어 있다.
일산리 선사유적1에서 채집된 대표적인 유물은 골아가리문양과 결합된 구멍무늬토기와 석제 방추차이다. 구멍무늬토기는 기형이 심발형(深鉢形)으로 구연부 바로 밑에 구멍이 2.5~3㎝ 간격으로 안에서 밖으로 완전히 뚫려 있으며, 입술에는 골아가리[口脣刻目]문양을 베풀었다. 그릇의 구경은 23.2㎝ 이고, 기벽의 두께는 0.9㎝ 이다.
방추차는 평면이 원형이고, 단면이 납작한 형태로 중앙부에 직경 1.1㎝의 구멍을 두었으며, 뒷면에는 중앙 구멍 외에 0.5㎝의 홈이 있다. 방추차의 직경은 5.8㎝, 두께는 1㎝ 이고, 재질은 운모편마암이다. 표면 전체가 마연되어 매끈하다. 일산리 선사유적2와 3에서는 무문토기편 약간이 채집되었다.
일산리 선사유적1, 2, 3은 모두 한 구릉상에 넓게 자리하여 출토되는 유물의 양상이 비슷하다. 경안천과 능원천 사이 위치하는 구릉지에 자리한 유적지로 주변 충적 지대가 근접해 있는 등 입지 조건이 매우 양호하고, 다수의 유물이 채집되는 점으로 미루어 청동기시대 유적이 집단으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