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547 |
---|---|
한자 | 東川洞遺物散布地 |
영어음역 | Dongcheon-dong Yumul Sanpoji |
영어의미역 | Archeological Site in Dongcheon-d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94전|58-1전|548-7전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김상익 |
성격 | 유물산포지 |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일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동천동 유물산포지는 세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각각을 동천동 유물산포지1, 동천동 유물산포지2, 동천동 유물산포지3으로 구분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국지도 23호선을 따라 성남시와 용인시의 시계가 지나는 동원교를 건너 지방도 14호선으로 진입하여 1.5㎞ 정도 가면 성모교육원이 위치한다. 동천동 유물산포지는 성모교육원 남동편에 자리한 동막마을과 서쪽의 산사면 말단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동천동 유물산포지2는 동천동 유물산포지1에서 북서쪽으로 500m 가량 떨어진 곳으로, 동천교 남동쪽 밭 일대이다. 유물산포지3은 동천2리 중손곡마을 일대로 남북 양쪽에서 뻗어 내린 산사면 사이의 비교적 좁은 평탄지와 사면 하단부이다.
동천동 유물산포지1은 조사 당시 도로와 동막천 사이에는 소규모의 택지들이 조성되어 있었는데, 주요한 유물산포 지역은 도로와 접한 밭 경작지와 하우스 주변 일대이다. 유물산포지2에서는 비닐하우스가 밀집된 평탄한 대지 일대가 주요 산포지이다. 유물산포지3은 마을 일대에서 전반적으로 유물이 채집되지만, 주요 산포지는 마을 입구의 논·밭 경작지와 마을 끝 부분의 주택 사이에 형성된 밭 경작지이다.
동천동 유물산포지1에서는 약간의 삼국시대 토기편과 고려·조선시대의 도기·자기편 등이 채집되었다. 유물산포지2는 고려·조선시대의 도기·자기편이며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유물산포지3의 채집 유물은 대부분 고려시대의 도기편들이며 그 밖에 약간의 조선시대 도기·자기편이 있다.
동천동 유물산포지 1과 2는 채집 유물로 보아 삼국시대와 고려·조선시대의 생활 유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