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에서는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이처럼 중요한 일이었기 때문에 정조 이후에 장릉(莊陵) 의 정자각(丁字閣)·비각(碑閣)· 장판옥(藏板屋) · 배식단 과 함께 관풍헌(觀風軒) 과 자규루(子規樓) 에 대하여 1년에 네 차례 조정에 관리 상황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배식단사 는 따로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
...손 위에 둥근 약합(藥盒)을 들고 있어 질병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는 약사여래좌상임을 알 수 있다. 일설에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 영월부 관아 였던 관풍헌 을 최근까지 보덕사 의 포교당으로 사용하면서 금당인 약사전(藥師殿)에 봉안하였다가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 성보박물관 에 이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