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에 있는 조선 전기에 건립된 지방 관아 건물. 관풍헌(觀風軒) 은 1428년(세종 10) 영월군수 김복항 이 건립하였다. 관풍헌 은 영월 청령포 로 유배온 단종 이 홍수를 피하여 1456년 관풍헌 에서 생활하였고, 1457년 10월 사약을 받은 곳이다. 1971년 12월 16일...
-
...었으나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자규루 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984-3번지 에 있다. 관풍헌 동쪽으로 약 50m쯤 떨어진 곳이다. 자규루 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이다. 자규루 는 단종 과 관련된 중요한 역사적 유...
-
...일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에서 을미의병 이 일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이후 유인석 은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을 강원도 영월군 으로 집결시키고, 관아였던 관풍헌 에서 연합 의병을 조직하여 호좌창의진 을 출범하고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유인석 은 호좌창의진 을 이끌고 충청북도 제천시 와 충주시 를 점...
-
...얼마 지나지 않아 홍수를 만났으며, 그로 인하여 처소를 읍내 영월 객사 의 동헌인 관풍헌(觀風軒) 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와 함께 이듬해인 1457년부터는 관가의 감시도 다... 단종 마저 영월 로 내쫓은 후로 악몽에 시달리고 있었다. 한편 단종 의 관풍헌 생활은 평온하였다. 단종 은 마음이 산란하거나 심사가 울적할 때 퉁소 부는 이를...
-
... 박팽년(朴彭年) 등을 중심으로 단종 을 복위시키려는 사건이 일어나자, 노산군 으로 강봉되어 청령포(淸泠浦) 로 유배되었다. 청령포 에서 유배생활 중 홍수로 관풍헌(觀風軒) 으로 옮겨졌다. 금성대군 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자, 1457년 세조 는 단종 의 사사(賜死)를 명하였고, 단종 은 17세의 나이에 죽임을 당하였다...
-
...성이라고까지 여기게 되었다. 강원도 영월군 에서 의병은 한말 의병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말 전기 의병 시기에는 유인석(柳麟錫) 이 강원도 영월군 관풍헌 에서 호좌창의진 을 결성하고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으며, 중기 의병기에는 원용석(元容錫) 이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에서 의병을 일으켜 항쟁하였다. 후기 의병기에는 ...
-
...으로, 숙종 때 단종(端宗) 이 복권되면서 영월군 에서 영월부(寧越府) 로 승격되었다. 영월부 의 관청 건물이 있던 곳은 현재 영월읍 영흥리 인데, 현재 관풍헌(觀風軒) 과 자규루(子規樓) 가 남아 있다. 영월부 의 객사는 정청(正廳)인 내성관(奈城館) , 서익헌(西翼軒)인 망경헌(望京軒) , 동익헌(東翼軒)인 관풍헌 세 채가 나란히 붙어 있는데, 현재 세 건물은 조계종 사찰의 포교원으로 쓰이고 있다. 그리고 관풍헌 의 동남쪽으로 30m쯤 떨어진 곳에 자규루 가 있다. 영월부...
-
...중국 과 우리나라 성현을 봉안하였고, 유생들이 강론을 하던 명륜당과 숙식을 하던 동재와 서재 등이 있다. 향교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은 1895년 갑오개혁 후에 폐지되었다. 관풍헌 에서 공부한 영월초등학교 학생 50명이 1912년 7월 2일 영월향교 명륜당 으로 옮겨와 수업을 하기도 하였다. 공자 를 찬양하고 영월향교 의 의미를 기리기 ...
-
...어서는 안 되며 반드시 국법으로 다스려야 한다.”라고 계속 상소를 올렸다. 그리고 그 결과 단종 은 1457년 10월 24일 오후 5~7시 사이, 영월 객사 의 동헌인 관풍헌 에서 사약을 받고 사망하였다. 사육신의 상왕복위운동은 형식적이나마 상왕의 대우를 받았던 단종 을 노산군 으로 강등케 하는 계기가 되었고, 금성대군 의 단종복위운...
-
... 왕이나 성현, 고관대작, 장군의 출생지나 무덤 앞에 세웠다. 비석 앞을 지나는 사람은 신분을 막론하고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비석이다. 영월 지역에는 단종 이 머물렀던 관풍헌 과 장릉 배견정 , 물루리골 앞에 하마비가 있었다. 현재 장릉 담장 앞에 있는 대소인원개하마비(大小人員皆下馬碑) 는 1996년 영월향토사연구회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