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에 있는 고대 산성. 영월(寧越) 정양산성(正陽山城) 은 왕검성(王儉城) 으로 불리며, 계족산성(雞足山城) 이라고도 한다. 정양산성 에 대한 문헌 기록은 조선 시대 역대 지리지 등에서 대부분 ‘정양산성(正陽山城)'으로 표기하여 관련 내용이 간략하게 전하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
...900여 m의 봉우리에 있는 산성이다. 태화산 은 주변에서는 가장 높은 산지여서 정양산성 , 완택산성 , 대야산성 과 단양 의 온달산성 이 모두 보인다. 전체...적 조사 때 태화산성 에서 ‘관(官)' 자명 기와를 수습하였다. 이후 2000년 정양산성 [ 왕검성 ]에 대한 정밀 지표조사 시행 과정에서 주변 성곽 유적과 함께 조사가...
... 신라 가 남한강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강원도 영월군 은 신라 의 영향을 받았다. 신라 는 강원도 영월군 을 통하여 북상하면서 고구려 의 남하를 저지하려 하였는데, 왕검성 을 개축한 것으로 여겨지는 정양산성(正陽山城) 을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통일 전쟁을 수행할 때 역시 정양산성 은 군사 기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일 후 지방 군사 조직인 10정(十停)을 설치하였다. 10정은 삼천당(三千幢)이라고도 하였는데, 676년 영월 지역에 내생군삼천당 이 설치되었다. 내생군삼천당 은 정양산성(正陽山城) 을 거점으로 운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이 항쟁을 펼치던 때와 마찬가지로 남북국 시대에도 영월 지역은 여전히 군사적 거점으로 중요시 되었던 것이다. 7세기...
... 영월 이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알려 준다. 실제로 고구려 는 왕검성(王儉城) 을 남진 정책의 전진기지로 삼았고, 신라 는 왕검성 을 개축한 것으로 여겨지는 정양산성(正陽山城) 을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676년(문무왕 16) 영월 에 군사 조직인 내생군삼천당(奈生郡三千幢) 이 설치되었다. 남북국 시대에도 영월 은 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