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 비로사(毘盧寺) 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 의 말사이다. ...를 중심으로 지역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 비로사 에서는 선(禪)문화 체험관과 비로사 역사를 기록한 사적비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비로사 는 계단식으로...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비로사 에 봉안된 조선 후기 불화.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榮州毘盧寺阿彌陀後佛幀畵) 는 비로사 적광전 에 봉안되어 있다. 화기(畵記)가 남아 있어 1832년(순조 32) 화담당(花潭堂) 경화(敬和) 와 동월당(東月堂) 행만(幸晩) 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
...石寺) 를 창건하고 나서 세운 사찰로 전해지고 있다. 창건 당시에는 소백산 에서 비로사(毘盧寺) 다음으로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초암사 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6... 그 뒤 승려 이영우 가 3칸 규모 법당을 세웠고, 승려 민덕기 가 주석하다가 비로사 로 자리를 옮겼다. 1982년 비구니 이보원(李寶元) 이 대웅전, 대적광전, 삼...
-
...왕 이 친히 곡식 3,000석을 하사하여 유석사 를 중창하였다. 그러나 1년도 채 되지 못해 유석사 건물은 전소되었다. 1387년(우왕 13)에는 추동(錐洞) 비로사(毘盧寺) 에 있던 태고보우(太古普愚) 가 제자 구곡(龜谷) 을 보내 중수하게 하였다. 이후의 연혁은 한동안 전하지 않다가, 1876년(고종 13) 소실된 유석사 ...
-
...오불이 된다.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은 1684년에 제작된 사불회[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비로자나불] 괘불탱을 바탕으로 노사나불을 추가하여 그린 것이다. 3.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6호]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 는 비로사 적광전 의 후불탱화로 1832년(순조 32)에 제작되었다.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 의 구성을 보면 연화좌에 앉은 아미타불 좌우에 시립한 ...
-
...보물 제221호],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榮州新岩里磨崖如來三尊像) [보물 제680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榮州黑石寺石造如來坐像) [보물 제681호],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및 석조비로자나불좌상(榮州毘盧寺石造阿彌陀如來坐像-石造毘盧遮那佛坐像) [보물 제996호],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보물 제1636호] 등이다. ...
-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 영주동 석조여래입상 ,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및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성혈사 신중탱화 등이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왕이 직접 참석하여 문무관 74명에게 창덕궁 서총대 에...
-
...시한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이 9년간 수도하던 곳이다. 그리고 고려 와 조선 왕들의 태실(胎室)이 자리 잡고 있으며, 부석사 · 희방사 · 비로사 · 성혈사 등 많은 사찰을 품고 있어, 한국 불교문화의 요람이기도 하다. 또한 소백산 여기저기에는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 , 퇴계(退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