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557 |
---|---|
한자 | 咸陽朴氏 |
영어공식명칭 | Hamyang-Park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기 |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 1449년 - 박종산 출생 |
---|---|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 1516년 - 박종산 사망 |
본관 | 함양 - 경상남도 함양군 |
입향지 | 입향지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 |
세거|집성지 | 집성촌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삼계리
![]() ![]() |
성씨 시조 | 박언신(朴彦信) |
입향 시조 | 박종산(朴從山)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박언신을 시조로 하고 박종산을 입향조로 하는 세거성씨.
영해박씨(寧海朴氏)는 박언신(朴彦信)을 시조로 하고 박종산(朴從山)[일명 박종산(朴鍾山), 1449~1516]을 입향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가산리·삼계리·수리·신기리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함양박씨의 원조는 박혁거세의 후손인 신라 경명왕의 셋째 아들로 속함대군(速咸大君)[속함은 함양의 옛 지명]에 봉해진 박언신이다. 그 후 세계가 실전되었다가 고려시대 예부상서를 지내고 함양군(咸陽君)에 봉해진 박선(朴善)을 중시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함양박씨의 영덕 입향조는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원모재(遠慕齋) 박종산이다. 박종산은 영해박씨 박성간(朴成侃)의 딸과 혼인하여 성주에서 창수면 인량리로 이거하였다. 그 후 박종산의 증손 박기서(朴麒瑞)가 창수면 가산리 우렁티로 이거하여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고, 7세 종손인 박성현(朴成賢)은 광해군~인조 연간에 창수면 삼계리 구룡마을로 이거하여 후손들이 세거하였다.
1992년에 간행된 『영덕군 향토사』에 의하면 함양박씨는 창수면 인량리에 24가구, 가산리에 23가구, 삼계리에 17가구, 수리에 18가구, 신기리에 10가구 등 주로 창수면 일대에 거주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창수면 이외 지역의 함양박씨는 매우 적다. 2015년 인구통계에 의하면 영덕군 내에 189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원모재(遠慕齋)와 소택정(小澤亭)이 있고, 가산리 우렁티에는 우현정(愚峴亭)이, 삼계리에는 일휴당(逸休堂)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