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천공설시장 은 조선 후기 영천시 창구동 조양각(朝陽閣) 앞에서 매월 2일과 7일 열리는 오일장으로 개설했다. 원래는 읍장(邑場)으로 불리어 오다가 일제 강점기 영천장 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55년 5월 영천시 완산동 현재의 자리로 옮겼으며 2005년 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했다. 영천공설시장 의 부지 면적은 1만...
-
1919년 4월 12일 영천읍 장날에 전개된 만세 시위 운동. 영천장날 만세 운동은 1919년 4월 12일 영천읍 시장에서 농부 홍종현(洪鍾顯) 이 만세 시위운동을 계...서 고등계 경찰보로 근무하던 동생 김태진(金泰鎭) 의 설득에도 동요하지 않았다. 영천장날 만세 시위 운동을 주도한 홍종현 은 5월 8일 대구지방법원 에서 징역 1년을...
-
...2002년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으로 정비한 것으로, 부지 면적 1만 1860㎡이며, 4개 지구에 205개 점포가 있는데, 영천 지역민들은 신시장 혹은 완산 시장 , 영천장 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천 공설 시장 은 주변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및 곡물류와 함께 돔배기와 한약재 등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특산품을 거래하는 경상북도 최대 ...
-
...등의 명칭이 전한다. 일제 강점기에는 영천 지역 15곳에 오일장이 개설되었다. 시장 개설일별로 보면, 1·6일에는 고경장 · 대창장 · 화산장 , 2·7일에는 영천장 , 3·8일에는 신녕장 · 금호장 · 원곡장 · 삼창장 · 세진장 , 4·9일에는 자천장 · 임포장 · 용산장 · 청경장 , 5·10일에는 ...
-
...전반적으로 회화적으로 묘사되어 있어 한편의 그림을 보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영천군 전도」 에는 자천면 의 중계동장(中溪洞場) , 아천면 의 행화촌장(杏花村場) , 자양면 의 검단동장(檢丹洞場) 등 중요 장시의 발달 현황을 표기하고 있어 동 시기 영천장 의 위상을 고려할 경우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
-
... 생활권의 중심지에 있어서 1990년대까지만 해도 신녕면 지역뿐만 아니라 군위군 지역 사람들까지 널리 이용했다. 특히 난전 상인들은 인근의 하양장 [4, 9일장]· 영천장 [2, 7일장] 등과 겹치지 않게 돌아가며 지역민들이 생산한 농산물 등을 매입해 왔다. 하지만 신녕 인근의 주민들도 큰 장을 보려면 영천장 을 이용한다. 신녕공설시장 의 대지 면적은 8,575㎡이며 55개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과거에는 우시장도 있었으나 현재 사라졌다. 신녕공...
-
...; 경상북도 영천시 한방로 에 있는 정기 시장. 영천축산시장 은 영천장 과 비슷한 시기에 개설된 축우(畜牛) 매매 전문시장이며 지역 내 한우(韓牛)의 유통...며 경매수수료는 큰 소 2만 5천 원, 송아지 1만 5천 원이다. 개시일은 처음에는 영천장 과 마찬가지로 매 2일과 7일이었지만 2011년 전자경매 가축시장으로 바뀌면서부터 ...
-
경상북도 영천시 보현3리 송정마을 의 안녕과 풍년을 위해서 지내는 마을 제사. 동제(洞祭)는 마을 공동체의 풍작을 기원하면서 주민들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간 신앙으로서 동제는 크게 유교식과 무속식이 있는데, 영천 지역의 동제는 대부분 유교식에 해당한다. 이것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유교적인 이념이 민간에까지 뿌리를 내려...
-
... 서던 곳이었다. 여전히 2·7일 ‘장날'에는 농촌지역 주민들로 붐비면서 시장의 본질적인 향수를 느낄 수가 있는 곳이다. 영천시장 은 옛말에 ‘잘 가는 말도 영천장 , 못 가는 말도 영천장 '이라는 속담이 있듯이 각처의 많은 사람들이 모두 영천시장 에서 만나게 되어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만큼 영천시장 은 교통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전인 과거에 ...
-
...동제를 지낼 준비를 하게 된다. 제관은 동제 지내기 3일 전에 새끼를 꼬아서 조산무더기에 금줄을 치는 것을 시작으로 동제 기간임을 주민들에게 알리게 된다. 제관은 제수 장을 영천장 에서 보며, 과일·포·생선·돔배기·전을 장만할 수 있도록 재료를 구입한다. 가정집 기제사보다는 조금 적게 준비한다고 하지만, 다른 마을에 비해서는 적지 않은 규모이다.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