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0957 |
---|---|
한자 | 佛影寺佛說大報父母恩重經 |
영어의미역 | 『Sakyamuni's Teaching on Parental Love』 of Buryeongsa Temple |
이칭/별칭 | 『불영사 부모은중경』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문헌/단행본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122[불영사길 48]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조수진 |
성격 | 불교경전 |
---|---|
제작시기/일시 | 1917년![]() |
제작지역 | 불영사 |
재질 | 종이 |
소장처 | 불영사 |
소장처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122[불영사길 48]![]() |
소유자 | 불영사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하원리 불영사 황화실에 있는 일제강점기 불교 경전.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은 부모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여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경전으로 1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전은 중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나라마다 유통본이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유통본은 대부분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으로 불렸으며, 특히 유교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많이 간행되었다.
『불영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1917년에 간행된 목판본으로 권두제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이다. 판식(板式)은 변란이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는 계선(界線)이 생략되었다. 반엽(半葉)은 8행 16자로 단행(單行)으로 되어 있으며, 판심제는 ‘부모은중경’이다. 반곽(半郭)의 크기는 19×15.5㎝이다.
『불영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1917년에 조성되기는 했으나, 1575년에 제작된 원간본 형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조선 중기 『부모은중경』의 판식과 목판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