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0780 |
---|---|
한자 | 漁村契 |
영어의미역 | Fishermen's Associ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
집필자 | 이영진 |
[정의]
경상북도 울진 지역에 있는 어촌의 자연마을 단위로 조직된 자주적 협동 조직.
[개설]
어촌계는「수산업협동조합법」을 근거로 비 법인으로 설립할 수 있는 어촌의 민주적인 소 조직으로서 수산업협동조합의 계통 조직 가운데 하나이다. 구성원은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의 조합원이어야 하며 원칙적으로 어촌 자연 마을을 단위로 조직하도록 되어 있다.
경상북도 울진군의 어촌계는 공동 사업과 효율적 어업을 위한 협력단체이면서 마을자치 조직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한 마을에 한 개의 어촌계가 조직된 경우도 있지만 한 개 이상의 마을이 공동으로 어촌계를 조직하기도 한다.
울진군의 어촌계는 공동 어장의 주체이기 때문에 해당 기관으로부터 수산물 공동 양식과 공동 어장 수산물 채취 어업 관련 허가 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공동 어장으로부터 얻는 수익금은 마을 공동 사업을 위한 재원이 되기도 하지만 계원들끼리 분배하기도 한다.
[현황]
경상북도 울진군에는 죽변수산업협동조합과 후포수산업협동조합이 있으며, 2024년 12월 현재 그 산하에 모두 32개의 어촌계와 1,663명의 계원이 소속되어 있다. 이중 죽변수산업협동조합에는 17개의 어촌계와 879명의 계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후포수산업협동조합에는 15개의 어촌계와 784명의 계원이 활동하고 있다.
『울진군지』에는 경상북도 울진군에 있는 주요 어촌계로 울진읍의 공세어촌계·현내어촌계·죽진어촌계·양정어촌계·곡혜어촌계, 북면의 나곡어촌계·북면어촌계·덕천어촌계, 근남면의 산포어촌계·진복어촌계, 매화면의 원남어촌계·덕신어촌계, 죽변면의 죽변어촌계·봉수어촌계·골장어촌계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평해읍의 거일1리어촌계·거일2리어촌계·직산1리어촌계·직산2리어촌계, 기성면의 구상법인어촌계·망양1리어촌계·망양2리어촌계·사동2리어촌계·사동3리어촌계·기성어촌계, 후포면의 후포어촌계·금음3리어촌계·금음4리어촌계 등도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