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주 광천·비룡 지석묘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360
한자 昇州廣川飛龍支石墓群
영어공식명칭 Gwangcheon and Biryeong Dolmens in Seungju
영어음역 Gwangcheon and Biryeong Dolmens in Seungju
영어공식명칭 Gwangcheon and Biryeong Dolmens in Seungju
이칭/별칭 광천리.비룡리 고인돌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비룡리 21-3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순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1년 7월 22일 - 승주 광천·비룡 지석묘군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 시작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1년 9월 20일 - 승주 광천·비룡 지석묘군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 완료
소재지 승주 광천·비룡 지석묘군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비룡리 21-3 지도보기|광천리 350지도보기
성격 지석묘|고인돌
양식 묘표식 지석묘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비룡리의 비룡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위치]

승주 광천 지석묘군은 광천리에서 하천을 따라 약 1.8㎞ 올라간 지점에 있으며, 승주 비룡 지석묘는 승주 광천 지석묘군에서 약 800m 더 올라간 지점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이 화순 동복~순천 광천 사이의 도로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도로 편입 부지인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 350에 5기, 순천시 주암면 비룡리 21-3에 1기의 지석묘가 있음을 알고 도로 공사에 앞서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승주 광천·비룡 지석묘군은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1991년 7월 22일부터 9월 20일까지 발굴조사하였다.

[형태]

승주 광천 지석묘군은 5기가 하천의 흐름과 나란히 2열을 이루고 배치되어 있다. 5기의 지석묘 상석 중 4기에서만 석곽이 확인되었고, 하부구조가 확인되지 않은 2호 지석묘는 무덤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무덤 구역을 표시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묘표식 지석묘(墓標式支石墓)라 할 수 있다. 상석은 대부분 70~80㎝ 정도의 두께를 가진 판석형이고, 1기만 120㎝의 두께를 가진 괴석형이다. 판석형 상석의 아래쪽에서는 매장시설이 확인되었지만, 괴석형 상석의 아래쪽에서는 매장시설이 확인되지 않았다. 매장시설은 할석[깬돌]과 천석을 섞어 축조한 석곽형이며, 주변에는 적석 시설이 부가된 것도 있다.

승주 비룡 지석묘는 비룡천을 낀 이 일대 계곡에서 가장 넓은 평야 지대에 단독으로 있었다. 상석은 정육면체에 가까우며 크기는 260㎝로 대형이다. 하부시설은 동-서 210㎝, 남-북 180㎝ 범위에 얇은 판석을 타원형으로 깔아 놓은 다음 그 외곽을 따라 지석 5매를 말발굽형으로 배치하였다.

[현황]

승주 광천·비룡 지석묘군 발굴조사 후 승주 비룡리 지석묘에서 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도로변인 순천시 주암면 비룡리 21-2번지로 이전 복원하였다. 승주 광천 지석묘 5기의 상석 중 4기에서 석곽이, 비룡리에서는 1기의 석곽이 확인되었다. 승주 비룡 지석묘는 그 형태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