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성황대신 사적 현판(淳昌城隍大神事跡懸板) 이 대중들에게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2년으로, 옥천 향토 사회 문화 연구소 회원들이 각고의 노력 끝에 찾...부인을 가리키는 호칭이다. 당시의 당각시 얼굴상은 중요 민속 문화재 102호로 지정된 순창 남계리 석장승 에서 발견할 수 있다. 순창 남계리 석장승 은 성황 대왕과 성황 대...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창신리 정동 마을 북쪽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절터. 창신리 절터 의 서쪽에 있는 골짜기를 마을 주민들은 ‘ 가람절골 '이... ‘절'은 같은 표현이지만, 주민들은 이를 합쳐서 부르고 있는 듯하다.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서 지방도 730호선 을 타고 유등면 창신리 방면으로 난 고...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한해오 의 효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한 효자와 한 다리」 는 효성이 지극한 한해오(韓海悟) 가 홀로... 『순창의 전설』 의 100~101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양정욱 이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의 경로당에서 한 노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순창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 있던 조선 후기 정자. 교용정(敎用亭) 은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사정 1교 대교천 변에 있었다.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의 『여암 유고(旅菴遺稿)』 에 교용정 중건기(敎用亭重建記) 가 전하는데, 고을 수령이 군사 훈련을 목적으로 세운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에서 매 1일과 6일에 개설되던 전통 시장. 1760년(영조 36)에 발간된 『순창 군지(淳昌郡誌)』 에 의하면 “읍시(邑市)는 매 1일...에 장시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좌부면 하전리 에 읍시가 있었다는 의미이다. 현재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는 구장터 [ 구시기 · 금덕 ]로 불리는 마을이 있으며...
전라북도 순창군 에서 소리를 소재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순창 은 예부터 풍류를 즐기던 고장이다. 조선 후기 8대 명창 중 4명의...광부 장관상이 주어지는 큰 대회로, 전국에서 많은 국악인들이 참여하여 판소리의 고장인 순창군 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 있는 순창 국악원 에서는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서 가마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처녀 총각의 원혼을 풀어준 가마탑」 은 혼인을 약속하였지만 어쩔 수 없이 혼인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닥치자, 이것이 한이 되어 총각이 죽고 처녀도 자결을 하여 총각의 뒤를 이었다는 조씨 처녀의 열녀담이다. 또한 사랑을 이루기 위해 죽음까지도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에 있는 조선 전기 순창 의 관비 간아지 의 정려비. 간아지(干阿之) 는 훈도(訓導) 유문표(柳文豹) 의... [현재 순창 초등학교 동편]에 비를 세웠으나, 1932년 경천 제방 공사로 순창군 금과면 남계리 호계정 으로 옮겨졌다. 이후 호계정 이 소실되며 담양군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남계리 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호계정(虎溪亭) 은 일제 강점기에 망국의 슬픔을 가슴에 안은 선비들이 모여서 시를 서로 주고받던 곳이다. 호계정 을 지은 유동유(柳東游) 는 본관이 문화(文化) 이며, 고조할아버지는 강천사 삼인대 에서 중종 의 폐비 신씨 복위를 청한 석...
조선 후기 순창 에서 활동한 문장가. 본관은 문화(文化) . 자는 학경(學卿) , 호는 호계(虎溪) . 고조할아버지는 석헌(石軒) 류옥(柳沃) , 아버지... [1615~?]는 1615년(광해 7) 남원 에서 출생하여 살다가 결혼한 이후 순창군 금과면 남계리 에 정착하였다. 류동유 는 지기(志氣)가 고결(高潔)하고 행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