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창 성황대신 사적 현판(淳昌城隍大神事跡懸板) 이 대중들에게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2년으로, 옥천 향토 사회 문화 연구소 회원들이 각고의 노력 끝에 찾...부인을 가리키는 호칭이다. 당시의 당각시 얼굴상은 중요 민속 문화재 102호로 지정된 순창 남계리 석장승 에서 발견할 수 있다. 순창 남계리 석장승 은 성황 대왕과 성황 대...
-
고려 시대 전라북도 순창군 의 역사.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에 따르면 940년(태조 23)에 처음 주·부·군·현의 이름을 고쳤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러나 ...교사의 지면보다 높은 것으로 지반의 한쪽이 침하되면서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 3. 남계리 가마탑 [ 남계리 석탑 ]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238-2번지 ...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문화 활동에 의하여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 문화재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문화 활동에 의하여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 혹은 문화재 ...나라의 서법(書法)과 서체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가 문화 유산인 순창 충신리 석장승 [중요 민속 문화재 제101호], 순창 남계리 석장승 [중요 민속 ...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동전리 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순창군 순창읍 과 금과면 경계인 아미산 [515.1m]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동전 마을 이 있다. 동전 마을 남쪽에서 금과면 소재지를 지나온 월천 과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일대에서 흘러온 사천 이 동전교 에서 합류해 줄곧 동쪽으로 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에서 매 1일과 6일에 개설되던 전통 시장. 1760년(영조 36)에 발간된 『순창 군지(淳昌郡誌)』 에 의하면 “읍시(邑市)는 매 1일...에 장시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좌부면 하전리 에 읍시가 있었다는 의미이다. 현재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는 구장터 [ 구시기 · 금덕 ]로 불리는 마을이 있으며...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에 있는 조선 전기 순창 의 관비 간아지 의 정려비. 간아지(干阿之) 는 훈도(訓導) 유문표(柳文豹) 의... [현재 순창 초등학교 동편]에 비를 세웠으나, 1932년 경천 제방 공사로 순창군 금과면 남계리 호계정 으로 옮겨졌다. 이후 호계정 이 소실되며 담양군 ...
-
조선 후기 순창 에서 활동한 문장가. 본관은 문화(文化) . 자는 학경(學卿) , 호는 호계(虎溪) . 고조할아버지는 석헌(石軒) 류옥(柳沃) , 아버지... [1615~?]는 1615년(광해 7) 남원 에서 출생하여 살다가 결혼한 이후 순창군 금과면 남계리 에 정착하였다. 류동유 는 지기(志氣)가 고결(高潔)하고 행실이 ...
-
조선 시대 전라북도 순창군 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목과동면(木果洞面) 은 목과동방(木果洞坊) 이라고도 하였으며, 줄여서 목과면(木果面) 또는 목과...여 방축리 , 모정리 와 대장리 일부를 합하여 모정리 , 호치리 · 남계리(南溪里) 일부를 합하여 남계리 , 늑곡리 · 장촌(獐村) · 능동(陵洞...
-
조선 시대 전라북도 순창군 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좌부면(左部面) 은 좌부방(左部坊) 이라고도 하였다. 1758년(영조 34)에 발간된 『순창군 읍...리 · 하전리 · 상전리 와 우부면 의 가잠리(佳岑里) 일부를 합하여 남계리(南溪里) , 장덕리 는 그대로 장덕리 , 복동 과 도실촌 의 일부를 ...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순창군 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금동면(金洞面) 은 금동방(金洞坊) 이라고도 하였다. 1758년(영조 34)에 발간된 『순창군 읍...) 의 일부가 동전리 , 방성리(訪聖里) · 석현리(石峴里) 와 목과동면 남계리(南溪里) 의 일부가 방성리 , 청룡리 는 그대로 청룡리 , 금현리(金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