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 있는 풍수 비보 목적의 석인상. 순창 남계리 석장승 은 순창 충신리 석장승 [국가민속문화재 제101호]과 한 쌍으로, 풍수 비보 기능을 하는 미륵불과 성황신상의 조합형 수호 신상이다. 이를 남계리 석장승 , 남계리 암미륵 , 각시상 등이라고도 한다. 순창 충신...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 있던 고을 숲. 순창읍 의 지형은 북쪽에 이산 과 금산 사이로 양지천 을 끼고 넓은 들과 골짜기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북쪽 인계면 방향으로 툭 트여 있어 북쪽이 차갑고 좋지 않은 기운이 순창읍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풍수지리상 배산 임수를 적용하면 배산의 지형 조건...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에 있는 석인상. 순창 충신리 석장승 은 순창 남계리 석장승 [국가민속문화재 제102호]과 한 쌍으로, 풍수 비... 순창 고등학교 동쪽 담장 아래 세워져 있었다. 이후 2004년 12월 남원 과 순창 간 도로를 확장하면서 순창 남계리 석장승 과 함께 순창읍 남계리 순창 문...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마을 수호 신앙의 대상인 당산석이나 풍수 비보의 대상인 수구막이용으로 이용된 마을 선돌. 마을 선돌은 대체로 마을에 세워진 선돌을 말한다....향에 따라 석인형 선돌, 불상형 선돌, 연화도 선돌이 세워지기도 한다. 석인형 선돌은 순창읍 남계리 와 충신리 에 위치하며, 수구막이 기능을 하는 석인상이다. 충신리 의...
-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용산리 신기 마을 에 있는 미륵불. 팔덕면 용산리 신기 마을 에는 독특한 불상형의 석인상이 있다. 이 석인상은 순창읍 충신리 에 위치한 석인상[ 충신리 석장승 ]과 기본적으로 얼굴상이 흡사하다. 순창읍 에는 남계리 와 충신리 에 각각 석인상 1기씩이 있는데, 이 석인상은 국내에서 찾...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에서 성황신에게 지내던 제사. 성황제 는 한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신께 드리는 의례이다. 이를 ‘서낭제'라고도 한다.... 신앙 대상물을 남겼다. 홀어머니산성 에는 성황신과 관련된 성곽 설화가 전해 오고 있으며, 순창읍 남계리 와 충신리 에는 성황신으로 추정되는 석인상 한 쌍이 남아 있다.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마을 주민들이 개인과 마을 공동체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마을 안에 세운 불상. 미륵불은 불교 신앙의 대상이다. 불교에서 미륵은 미래에 ...성된,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가진 선돌형 미륵불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선돌형 미륵불은 순창읍 남계리 , 충신리 석장승 과 팔덕면 산동리 , 팔덕면 창덕리 에서 찾아볼...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당산제(堂山祭) 는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일정한 시간과 절차를...를 지냈다. 지금도 25개 정도의 마을에서 당산제 를 지내고 있다. 순창읍 남계리 동은 마을 에는 마을 주민이 단합하여 각시숲 의 남계리 가마탑 과 정...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사람의 얼굴을 새겨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운 목상이나 석상. 장승은 돌이나 나무로 깎고 다듬어 사람 모양의 형상물로 만들어 마을 입구 양쪽...지역에는 예부터 장승 문화가 발달되어 다양한 유형의 장승이 보인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순창 남계리 석장승 [중요 민속 문화재 제102호]과 순창 충신리 석장승 [중요 민속 ...
-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복을 빌고 재액을 물리치기 위하여 주사로 쓴 그림 글씨. 부적은 종이에 글씨나 그림 또는 기호 등을 그린 것으로, 재앙을 막아 주고 복을 ...전래되어 지금도 정월에 부적을 대문과 방문에 붙이는 관행이 남아 있다. 순창읍 남계리 에는 정월 보름맞이 이전 입춘 즈음에 절에서 스님에게 받아온 부적을 방문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