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2230 |
---|---|
한자 | 下水道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윤제 |
가정 및 시설물에서 사용하고 난 물을 처리하는 시설.
하수도는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부수되는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배제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관,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을 총칭한다. 보통 공공(公共) 하수도를 말하며 하수도관, 하수처리장이 있다.
성남의 하수도 시설은 1971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65,550m의 하수도 시설을 추진하기로 하여, 1972년까지 2년 동안 49,522m, 1973년 한 해에 5,902m를 개설하였다. 이후 해마다 시설 하수도 보급에 투자하여, 1983년에는 계획 하수도 총연장 215㎞ 중 약 69.8%인 150.32㎞를 개설하였고, 1992년에는 계획 연장 215,000m 중 200,387m를 개설하여 93.2%의 보급률을 보였다.
2001년에는 성남시 총인구 937,780명 중 하수 처리 인구 918,726명으로 98.0%의 보급률을 보였다. 하수관거는 계획 연장 957.7㎞, 시설 연장 854.7㎞로 보급률은 89.2%였다. 2005년에는 총인구 992,758명 중 하수 처리 인구는 984,972명이며, 하수관거는 계획 연장 1,097.2㎞, 시설 연장 972.4㎞로 보급률은 88.6%였다.
2007년 현재 성남시 총인구 968,203명 중 하수 처리 인구는 961,160명이며, 하수관거는 계획 연장 1,097.2㎞에 시설 연장 1,030.2㎞로 93.9%의 보급률을 기록하였다. 이중 합류식 하수도는 453.7㎞이고 오수관거와 우수관거가 분리되는 분류식 하수도는 532.4㎞이다. 차집 관로의 총 연장은 44.16㎞이고 이 중 수정구와 중원구의 하수도와 연결되는 제1하수처리장의 차집 관로 길이는 23.14㎞, 분당구와 용인 수지를 연결하는 제2하수처리장의 차집 관로 길이는 21.0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