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326 |
---|---|
한자 | 尹世胄 烈士 生家地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노상하1길 25-3[내이동 881-2]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선미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10년 - 윤세주 열사 생가지 발굴 조사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7년 2월 8일 - 윤세주 열사 생가지 「윤세주 열사 어록비」 설치 |
소재지 | 윤세주 열사 생가지 -
경상남도 밀양시 노상하1길 25-3[내이동 881-2]![]() |
성격 | 독립운동가 생가 터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있는 독립운동가 윤세주가 태어난 집터.
윤세주(尹世胄)는 1900년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서 태어났다. 생가 자택이 언제 건립되었고, 윤세주의 일가가 언제부터 거주하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윤세주의 8대조인 윤이빙이 세거지인 전라도 무창에서 밀양현[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으로 이거한 17세기 후반 이후의 어느 시기로 추정된다.
1920년대 중반에 윤세주의 가족은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감천리로 이주하였다. 윤세주가 의열단의 제1차 암살폭탄사건[일명 밀양경찰서 폭탄투척의거]으로 투옥되어 경성형무소에서 수감되어 있던 시기이다. 윤세주의 옥바라지 등으로 가세가 기울어, 시내 중심가에서 다소 떨어진 곳으로 이주한 것이다. 이후 윤세주의 태어난 가옥은 소유주가 바뀌고, 성격 또한 상가로 바뀌었다.
현재 윤세주의 생가 터 인근에는 의열단기념관과 해천항일운동테마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윤세주 열사 생가지는 1920년대 중반 윤세주의 가족이 밀양시 부북면 감천리로 이주하면서 소유주가 바뀌었다. 2009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의 ‘2009년 항일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 당시 건물은 상가로 사용되고 있었다.
윤세주 열사 생가지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있다.
2022년 현재 윤세주 열사 생가지의 가옥은 멸실되고 없다.
윤세주는 김원봉과 더불어 밀양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다. 윤세주의 생가지를 보존하고 기리는 일은 항일독립운동의 현장이라는 경상남도 밀양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