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1290 |
---|---|
한자 | 鎭川-金石文集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정아 |
성격 | 향토지 |
---|---|
저자 | 진천상산고적회 |
간행자 | 진천상산고적회 |
저술연도/일시 | 1994년 |
간행연도/일시 | 1994년 2월 25일![]() |
권수 | 1권 |
책수 | 1권 |
가로 | 19㎝ |
세로 | 25.7㎝ |
표제 | 진천의 금석문(비문)집 |
간행처 | 대전서진인쇄·출판사 |
충청북도 진천군의 7개 읍면에 산재한 비문의 내용을 수집 정리한 비문집.
충청북도 진천군은 예로부터 역사와 전통이 빛나는 충신열사의 고장으로 이름이 나 있다. 이에 따라 진천군에서는 인문지리에 관한 향토지가 다양하게 발간되어 지역 향토사 연구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비문이 내용을 수집하는 것과 그것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에 늘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던 차에 진천의 향토사 연구 모임인 진천상산고적회(鎭川常山古跡會)에서 곳곳의 비문을 수집하여 내용을 교정하고 필요에 따라 번역을 하는 등의 노력을 거쳐 1994년 2월 25일 『진천의 금석문집』을 발간하게 되었다.
1994년 간행된 이래 증보된 바 없으며, 진천상산고적회 및 각 지역의 공공기관과 진천군 역사 자료로서 배치되어 있다.
가로 19㎝, 세로 25.7㎝의 4×6배판으로 발행사를 포함하여 466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천의 금석문집』은 진천군의 7개 읍면인 진천읍, 덕산면,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만승면[지금의 광혜원면]에 산재되어 있는 비문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170여 건에 달하는 비문집을 수집하여 각 읍면별로 시대순으로 정리하여 누구나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지역에 산재해 있는 비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역사와 향토사를 비문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는 것에 커다란 의의가 있다. 또한 비문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 놓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어려운 내용을 알기 쉽게 번역하여 시대순으로 정리해 놓았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