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301789 |
---|---|
한자 | 硯朴里-龍- |
영어음역 | Yeonbangniui Yongbawi |
영어의미역 | Drangon Stone of Yeonbak-ri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명환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4년![]() |
---|---|
관련 지명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
채록지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성격 | 전설|기자담|암석 유래담 |
모티프 유형 | 아들을 낳게 하는 기자바위|개를 제물로 지내는 기우제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에서 용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연박리의 용바위」는 봉양읍 연박리에 있는 용바위에 대한 기자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용바위 아래를 몸이 닿지 않게 통과한 뒤에 부부 관계를 가지면 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또한 가뭄이 들었을 때 개를 잡아 기우제를 지내면 당일에 비가 내린다고 한다.
2004년 제천시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제천시지』에 실려 있다.
용바위 밑에 사람이 겨우 들어갈 만한 구멍이 있다. 바위에 몸이 안 닿게 통과한 뒤 집에 가서 부부 관계를 맺으면 아들을 낳게 된다고 한다. 또한 가뭄이 심하면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낸다. 기우제를 지낼 때 용머리 꼭대기에 가서 개를 잡은 뒤 피칠을 하면 신기하게도 당일에 소나기가 내렸다고 한다.
「연박리의 용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아들을 낳게 하는 기자바위’, ‘개를 제물로 지내는 기우제’ 등이다. 「연박리의 용바위」의 내용을 통해서 보면 용바위는 기자(祈子)의 대상이면서 기우(祈雨)의 대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