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백련사 대웅전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아미타여래 좌상. 백련사 는 감악산 정상에 위치한 사찰로 경내에는 대...서 18세기 제천 지역에서 유행한 불상 양식을 잘 보여주는 상이다. 또한 최근에 제천 강천사 목조보살좌상 의 복장이 조사되었는데, 이곳에서 제천 백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암리 백련사 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종형 부도. 백련사 는 『조선사찰사료』 백련사 중창기에 의하면 662년(문무왕 2)에 의상조사 가 창건하고, 1588년(선조 21) 사명대사 가 중창하였다고 하며, 현재는 대웅전, 강당, 삼성각, 요사채 등이 건립되어 있다. 사역에서는 조...
-
조선 후기 조희룡(趙熙龍) 이 4월 초파일 감악산 에 있는 백련사 의 풍광을 읊은 칠언 배율의 한시. 매수(梅叟) 조희룡 [1797~1859]은...이 있는 것으로 보아 대략 1838년(헌종 4) 무렵 단양 을 여행했고, 그 당시 제천 에도 들러서 감악산 백련사 를 찾아보고 「목불일왕백련사(沐佛日往白蓮寺)」...
-
조선 시대 이재열(李載烈) 이 감악산 에 있는 백련사 에서 노니는 모습을 노래한 칠언 율시의 한시. 이재열 은 제천 지역의 한학자로 추정된다. 생몰 연대나 작품의 창작 시점은 확실치 않다. 「유백련사(遊白蓮寺)」 는 제천시 봉양읍 에 있는 백련사 의 경치와 그윽한 분위기를 묘사한 작품이다. 수련과 함련에서는 백...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 강천사 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과 복장 유물. 제천 강천사 목조보살좌상 은 밑바닥에는 복장공(腹藏孔)이 있고...을 온전하게 살펴볼 수 있는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조성 원문에 따르면 제천 강천사 목조보살좌상 은 인근 백련사 목조 여래 좌상 과 조합을 이루어 금수산 ...
-
1705년(숙종 31) 서문택(徐文澤) 이 영춘 , 단양 , 제천 , 청풍 의 4군을 유람하고 지은 장편 기행 가사. 서문택 [1644~1714...하고, 그 전모를 기행 가사로 남겼다. 그 중 하나가 「사군별곡(四郡別曲)」 으로 제천 의 산수와 풍물을 그리고 있는데, 특히 의림지 와 팔송정 , 백련사 , ...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봉리 에 있는 고려 시대~조선 시대 석축 산성. 감암산성 은 차령산맥 의 한줄기에 솟은 치악산 남쪽 끝자락에 있는... 하였다. 아직까지 정밀한 학술 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정확한 양상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백련사(白連寺) 계곡부를 감싸고 돌아가는 천연의 암벽과 석축된 성벽이 이어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