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응천 이 은거하였던 지리산 , 덕유산 , 익산 의 화산 [지금의 미륵산 ]에 관련된 장편 시가 많으며, 서간이나 잡저(雜著) 등을 통하여서도 소응천 의...와 기(記)이다. 서는 「반곡고공문집서(盤谷高公文集序)」 부터 1738년 오늘날의 미륵산 사자암 에서 주고받은 시문의 서문까지 열두 편이 수록되어 있다. 기는 「계...
-
... 횡탄 을 건너 왕검성 [지금의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의 정원 유적와 오금산성 [ 익산 토성 ] 일대를 답사한다. 이후 미륵사지 와 기준성 [ 익산 미륵산성 ], 익산 쌍릉 등에 대한 일정을 세밀하게 적고 있다. 「유금마성기」 는 1738년 익산 금마 지역을 답사한 강후진 이 미륵사지 , 왕궁...
-
... 함열리 소방산 [일명 봉수산 ]에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산봉수대 에서는 서쪽으로 금강 이 흐르고 동쪽으로는 함라면 일대와 미륵산 을 포함한 익산 전역이 한눈에 보인다. 소방산봉수대 는 해발 220m의 봉수산 산꼭대기에 있는 봉수대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심곡사대웅전 은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176 에 있다. 금마면 소재지에서 미륵산 과 용화산 사이에 있는 아리랑로 를 따라 낭산 방면으로 가다 보면 왼쪽에 장암마을 이 있다. 장암마을 로 진입하여 산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미륵산 중턱에 심곡사 가 있다. 심곡사 는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 [재위 839~856] 때 무염대사(無染大師) 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
...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4구에 나오는 ‘기성(箕城)'은 ‘기준성(箕準城)'의 줄임말이다. 익산 의 미륵산성(彌勒山城) 을 말한다. 기자조선(箕子朝鮮) 의 마지막 왕으로 알려진 준왕(準王) 이 미륵산성 을 쌓았다는 전설이 있어서 ‘기준성'이라는 이칭으로 불리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시어를 통하여 시의 향토적 정감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
...다. 『해동지도』 「용안현도(龍安縣圖)」 에는 고을의 북쪽으로는 금강 이 흐르고, 남동쪽으로는 금마면 미륵산 에서 발원한 부곡천 이 흐른다. 이 부곡천 변과 읍치 오른쪽 하천변은 밀물 때면 바닷물이 밀려 들어와 갈대가 무성하였던 곳이다. 읍치 왼쪽의 해창(海倉)이 있는 곳은...
-
... 『해동지도』 「익산군도」 에서 산세는 미륵산 과 용화산 을 제외하면 야트막한 언덕 정도에 불과하다. 읍치 아래쪽의 왕궁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 이며,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미륵산 아래쪽의 김장생 과 송시열 을 배향한 화산서원(華山書院) 이 표시되어 있...
-
...이다.” 이는 앞서 조선 시대 기록 내용보다 규모가 더 큰 상황으로 ‘조선 제일의 담수호'라는 표현에서 그 규모가 당시에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 요교호 에 대하여 “ 미륵산 서북쪽 기슭에 위치한 금천 에서 발원하여 오늘날 황등면 , 삼기면 , 월성동 , 신용동 부근의 넓은 들에 자리한 큰 호수가 있어 나룻배로 건너다녔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