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미륵산 에 있는 백제 시대 절터. 사자사지(師子寺址) 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미륵산 에 있는 백제 사자사 의 터이다. 미륵사지 북쪽에 있는 미륵산 사자암(獅子庵) 은 『삼국유사(三國遺事)』 백제 무왕조의 미륵사 창건 설화에 나오는 ...
-
... 무왕 시기 익산 의 용화산 사자사 에 주석하였던 승려. 지명법사(知命法師) [?~?]는 익산 미륵사(彌勒寺) 창건 당시 용화산 [현 미륵산 ] 사자사(獅子寺) 에 주석(駐錫)[선종에서, 승려가 입산하여 안주함]하고 있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武王) 조에는 미륵사 의 창건 연기설화가 기록되어...
-
... 민묘 조성으로 인하여 훼손되었다. 용화산성 은 익산 지역에 분포한 산성 중 유일하게 주성과 부성으로 나누어진 성곽으로 주변을 조망하기 좋은 위치에 있어 미륵산성 및 주변 산성군과 인접 산성들 간에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성은 공격 시 실질적인 농성 장소로 판단되며, 부성은 주성과 연결되어 감시 및 경보...
-
...성곽이 확인되었으며, 주로 백제 시대 성곽이 많다. 금강 연안의 함라산 일대와 미륵산 과 용화산 이 있는 금마면 일대, 그리고 동쪽 천호산 일대에 주로 성곽이... 다수 출토되어 상한이 백제 말기까지 소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익산 미륵산성 은 미륵사지 북쪽에 있는 해발 430m의 미륵산 정상부와 북쪽 봉우리를 잇...
-
...이거나 백제 왕실에서 파견한 담로와 같은 존재가 아닐까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익산 지역에서는 금강 하구 일대에서 비교적 이른 단계부터 횡혈식석실이 사용된 데 반하여 미륵산 일대의 내륙권역에서는 5세기 중반까지 마한 전통의 분구묘가 축조되는 등 지역적으로 약간 다른 전개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마한 의 전통이 그만큼 강고하였기 때문이라고...
-
...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 [해발 162m]의 정상부 정상과 8부 능선을 따라 축성된 산복식 산성이다. 마한성 , 구성 , 북성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남쪽은 미륵산 이 가로막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삼면을 모두 조망할 수 있다. 동쪽으로는 높지 않은 산악 지대를 형성하고 있고, 당치산성 과 천호산성 이 보이며, 북쪽으로는 낮은 구...
-
... 무왕 대에 창건되었고 조선 시대 임진왜란 전후 시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익산 미륵사지 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 에 있다. 미륵산 정상에서 서남쪽으로 내려오는 얕은 능선 사이의 평지에 있으며 미륵사지 가 속하여 있는 마을을 노상마을 이라 부른다. 1910년 일본 연구자들 세키노 다다시[關...
-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이 있다. 익산 왕궁리 유적 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번지 와 금마면 동고도리 1109-8 일대에 있다. 미륵산 에서 약 2㎞ 이어진 능선 끝자락의 나지막한 구릉[해발 41.8m] 위에 있으며 서쪽에는 국도1호선 이 지나고, 남쪽에는 탑리마을 이 인접하여 있다. 관련 유적으로는...
-
...陶窯址) 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에 있는 백제 시대 토기 도요지이다. 미륵산 동쪽 해발 150m 지점의 사면에 2기가 나란히 있다. 제1호 가마는 길이 8.5m...20; 익산백제토기도요지 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92-2 에 있다. 미륵산 동쪽 해발 150m 지점의 사면에 2기가 나란히 있다. 장축 방향은 동서 280°이...
-
...이다.” 이는 앞서 조선 시대 기록 내용보다 규모가 더 큰 상황으로 ‘조선 제일의 담수호'라는 표현에서 그 규모가 당시에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 요교호 에 대하여 “ 미륵산 서북쪽 기슭에 위치한 금천 에서 발원하여 오늘날 황등면 , 삼기면 , 월성동 , 신용동 부근의 넓은 들에 자리한 큰 호수가 있어 나룻배로 건너다녔다.”라고...